대구와 경북의 행정통합 논의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부산·경남, 광주·전남, 대전·충남 등지에서도 행정통합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는 대구경북의 행정통합 논의가 자치권 강화를 통해 소멸위기에 봉착한 지역의 생존권을 회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는 사실에 모두가 공감한 변화여서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특히 가장 먼저 시작한 대구경북의 통합성공 여부에 따라 대한민국 행정체제의 대전환도 가능할 것으로 보는 전망도 나온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지난 8일 부산·경남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켰다. 동시에 구체적인 통합 모델과 비전을 제시하며 행정통합 추진 의사를 공식화했다. 부산경남의 행정통합은 지속되는 인구감소와 지역경제 침체 등 지방의 위기를 해결하는 데 목적을 둔다고 했다.
부산경남은 두 개 안을 제안했다. 하나는 현재의 행정체제를 폐지하고 통합 지방정부를 신설하는 안. 또 다른 안은 부산과 경남을 존치하되 초광역행정을 수행할 준주(準州)를 신설하는 안이다.
광주·전남과 대전·충남도 대구경북의 행정통합 추진에 관심을 보이며 자체적인 논의를 조심스럽게 검토 중이라 한다. 대구경북 통합이 국가 전체적으로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음을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동시에 TK행정통합이 성공적으로 실현돼 명실공히 지방정부시대를 여는 기폭제가 돼야 하는 사명감도 느끼게 한다.
행정통합은 단순히 행정구역을 합치는 의미가 아니다. 구역 통합을 넘어 지역의 자원과 역량을 효율적으로 결합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데 있다. 청년이 떠나고 고령화로 소멸위기에 빠진 지방을 역동적 도시로 전환하자는 것이다.
정부가 가진 권력을 이양받아 지방 스스로가 경쟁력 있는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그냥 앉아서 죽느냐 변화를 구해서 사느냐를 선택하는 것”이라 말했다. 또 “후손들을 위한 역사적 결정”이라고도 했다. 부산경남이 시동을 걸면서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가 이제 더 바빠졌다. 일부의 반대 여론 등 난관도 적지 않게 나타난다. 하지만 이를 극복해 지방이 잘사는 길을 찾는 것이야말로 행정통합을 이루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