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영천 기행

등록일 2025-11-19 15:13 게재일 2025-11-20 18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우리 중학 동창 다섯은 매년 만난다. 서울, 부산, 공주, 대구 등 전국 각지에 흩어져 살아도 최소 일 년에 한 번은 보기로 한 지 20여 년이 넘었다. 작년 가을 전주에서 만나 올해 여행지를 해외로 정했는데 내가 아프다는 핑계를 댔다. 장소가 뭐가 중해, 만나 얼굴 보는 게 중하지 모두들 동의해 주어 내가 사는 대구에서 가까운 영천으로 급변경했다. 영천을 관광지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검색하여 일정표를 짜고, 영천 기행을 시작했다. 임고서원에 잠시 들러 수령 500살인 은행나무를 경외롭게 우러러봤다.

보현산 아래 화북면 자천리에는 역사 깊은 교회와 성당이 있다. 자천교회는 1903년에 지어졌다고 하니 120년이 더 된 오래된 유산이다. ‘야소교예배당’ 간판과 자천교회 간판이 정갈하다. 잘 정돈된 잔디마당을 지나면 일자형의 한옥, 옛 자천교회였던 예배당이 나온다. 내부에는 남녀석을 분리해서 칸막이도 있었다고 들었는데 안을 들여다볼 수 없어 아쉬웠다. 세월을 이고 근엄하게 서있는 나무 종탑도 멋지다.

교회 옆 골목을 들어가면 영천성당 자천공소 안내표지가 나온다. 오래되어 쓰지 않은 건물에 ‘바오로정미소’ 나무 간판이 세월의 먼지 속에 희미하다. 성당에서 운영하였나 아니면 세례명이 바오로인 충실한 성당 신도가 운영하였나 넘겨짚어 본다. ’은혜의 모후‘ 성모상이 반기는 뒤편에 아마도 후대에 지어졌을 분홍색 성당이 현재의 자천공소이고 입구 오른쪽에 세월을 알게 해주는 커다란 소나무 아래 한옥이 옛 자천성당인 듯했다. 1927년에 지은 초가집으로 성당이 시작되었다니 내년이면 100년이 되는 셈이다. 우리나라 기독교와 천주교사에 남을 만한 역사적 건물이 이렇게 있을 정도면 자천이 예전엔 꽤나 번화한 마을이었나 싶다. 자천 입구 길 따라 길게 펼쳐진 오리장림도 웅장하다. 1500년대에 조성된 마을숲이었다는데 수령이 족히 수백 년은 돼 보이는 나무들이 가을 풍치를 제대로 보여준다. 자천은 나의 원 고향이었다. 종고모와 종숙이 살던 집은 어딘지 잊었으나 어린 시절 오리장림에서 놀던 기억은 또렷한데 이렇게 오래된 교회와 성당이 있는 줄은 몰랐다.

오후엔 은해사와 거조암엘 갔다. 타지에서 온 친구들에겐 은해사는 생소한 절인 듯했다. 은해사냐? 은혜사냐? 은해사구나. 평탄한 길을 산책하듯 가다보면 다리 건너 절이 보인다. 초파일 등을 아직 거두지 않은 절 마당에 수령 450년이나 된 향나무가 우뚝하다. 은해사에선 우엉차와 무말랭이차, 갓 내린 커피를 대접받았다. 따뜻하고 향기로운 은혜다. 은해사에서 20여 분 오르면 팔공산을 동서로 가른 계곡 자락에 거조암이 있다. 매년 정초 거조암에 올라 오백나한 앞에 100원짜리 보시를 올리는 나였다. 이름과 표정이 제각각인 나한상은 볼 때마다 경이롭고도 재밌다.

친구들은 종교가 제각각이다. 한 친구는 성당에서 세례받은 신자요, 둘은 교회의 권사이며, 날 포함한 둘은 수계관정 받은 불자다. 어쩌다 보니 이번 영천 여행은 종교가 제각각인 우리에게 마침맞은 성지순례가 되었다. 한 친구가 범종교 여행이라고 했는데 절묘한 말이다.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오피니언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