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에이펙과 화백회의

등록일 2024-11-17 18:25 게재일 2024-11-18 18면
스크랩버튼
유영희 작가
유영희 작가

11월 16일 대한상공회의소는 내년 ‘에이펙 시이오 서밋’(APEC CEO Summit) 회의가 한국 경주에서 열린다고 발표했다.

경주, 인천, 제주가 경합하다가 경주로 결정된 것은 4개월 전이지만 오늘 공식화된 것이다. 2005년 부산에서 열린 지 20년 만의 일이다. 경주가 에이펙 유치를 위해 노력한 지 3년만의 성과이기도 하다.

에이펙은 유럽연합(EU),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등 유럽과 북미의 지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환태평양 연안 국가들이 만든 경제협력체인데, 1989년 호주 총리가 제안하여 1993년 11월 시애틀에서 12개국이 모여 제1차 정상회의를 개최한 이후 올해로 31회를 맞았다. 현재 참여 국가는 21개국이다. 각국의 정상이 참석하지만 참가 자격은 국가가 아니라 경제체여서 국가라는 표현도 안 쓰고 국기 게양도 하지 않는다. 그래서 회의의 의장도 경제인이다. 올해 열린 페루 리마 회의 의장은 페르난도 자발라 페루 최고경영자였고, 내년에 열리는 경주 회의 의장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다.

경주는 이미 2022년 보문관광단지 안에 178만㎡에 달하는 지역을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한 데 이어 올해는 보문단지 리모델링을 계획하고 있다. 1979년 개장한 대한민국 제1호 관광단지 보문관광단지는 코로나19 이후 관광객 급감한 후 시설 노후로 회복이 더뎠는데, 이번 회의를 계기로 다시 날갯짓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회의 개최로 경북과 경주는 전국 단위로는 1조8000억 원, 경북에서는 1조4000억 원 등 많은 경제적 특수를 기대하고 있다. 손님이 가장 많이 오는 시기는 각국 정상이 개최국에 모이는 10월의 2~3일뿐이지만 각급 회의가 연초부터 1년 동안 300여 회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회의가 장기간 여러 차례 진행되는 이유는 에이펙에서는 참여국가 모두 만장일치로 합의해야 한다는 독특한 의사결정 방식 때문이다.

만장일치라는 의사결정 방식은 우리에게는 매우 친숙하다. 한국 사람이라면 신라시대 화백회의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화백회의에 대한 기록은 우리에게는 없고 중국의 ‘신당서(新唐書)’‘신라전’에서나 기록을 찾아볼 수 있지만, 그 실체를 의심하는 사람은 없다. 화백회의의 원형은 신라시대 6부족이 박혁거세를 추대한 회의였다고 하니, 이때 만장일치는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화백의 만장일치 정신이 에이펙이라는 거대 조직에서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무척 놀랍다.

페루 회의에 참석한 최태원 회장은 내년 에이펙 주제를 “‘브릿지’, ‘비즈니스’, ‘비욘드’(b·b·b)”라고 발표했다. 기업이 정부와 연결하고 현실과 이상을 연결하면서 혁신 성장의 주체가 되어 에이펙 공동체의 더 나은 미래를 만들자는 뜻이다. 현실과 이상을 연결하기도 어렵지만,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이 공동체의 발전을 동시에 만족하는 만장일치를 이룬다는 것 역시 너무나 어려운 주제다. 혹시라도 ‘답정너’(답은 어차피 정해져 있어, 너는 대답만 하면 돼.)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

무엇보다 3500억 원의 예산이 1년 깜짝 흑자 효과로 끝나지 않고 지속가능한 경북 발전으로 이어져서 지방 발전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유영희의 마주침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