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TK행정통합’ 관심 없는 달성군 주민들

최상진기자
등록일 2024-11-04 20:01 게재일 2024-11-05 3면
스크랩버튼
대구시 개최 주민설명회 ‘시큰둥’<br/>미래먹거리·경제적효과 등 제안<br/>실현성 우려 지역민 공감 못 얻어<br/>군, TV토론회·주민투표 등 의견<br/>시, 일정에 차질… 여론조사 제안

대구 달성군에서 4일 열린 ‘대구경북(TK) 행정통합 주민설명회’에 대한 호응이 저조했다. 홍보 부족과 주민 관심 저조가 그 원인이다.

대구시 차원 달성군의 유리한 점과 미래 먹거리를 제시했지만, 주민들은 공감하지 못했다. 이날 달성군청 회의실에서 열린 주민설명회는 최재훈 달성군수와 박희준 대구시 행정통합추진단장, 최재원 대구정책연구원 및 군의원, 지역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사진>

설명회에서는 대구시의 달성군에 대한 미래 계획과 청사진을 들을 수 있었다. 박희준 단장은 “정부가 저출산과 지방 소멸의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행정통합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며 “통합이 되면 대구경북특별시는 전국 최대 면적에 저렴한 부지 가격을 바탕으로 산업용지 개발과 투자 유치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행정통합 특별법에 따라 중앙부처의 많은 권한이 특별시장에게 이양되고, 개발 부담금을 면제와 국가산업단지와 글로벌 미래 특구 등 다양한 혜택을 특별시장이 직접 지정 또는 요청할 수 있다”면서 “이를 통해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재원 대구정책원 역시 경제적 효과를 강조했다.

최 대구정책원은 “행정 통합 후 20년 동안 경기도 산단의 4배가량을 개발해 투자 유치하면 2045년 특별시의 지역내 총생산은 현재보다 8.4배 늘어난 1512조원으로 늘어나고 취업자 수는 773만 명, 사업체 수는 236만 개까지 늘어날 것”이라며 경제적 효과를 설명했다.

하지만, 주민들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단순 미래 청사진 설명으로 주민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기에는 어려워서다. 또 행정통합에 대한 실현성이 체감되지 않는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이날 김보경 달성군의원은 “행정통합 관련, 설명회를 급하게 진행하는 느낌이 든다”며 “좋은 통합이 되려면 과정이 좋아야하는데,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행정적, 정치적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박영동 달성군의원은 “행정통합이 일부 사람들에 의해 추진되지 않도록 충분한 숙의과정이 요구된다”면서 “TV토론회나 시민공론화위원회를 추진하고 그 결과를 주민투표로 결정했으면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이에 시 관계자는 “250억 원 정도를 들여 5∼7개월이 걸리는 주민 투표를 할 경우 2026년 7월 통합 특별시를 출범 시킬수 없다. 여론 조사 등이 대안”이라며 “설명이 부족하고 문제가 있다면 토론회 등은 언제라도 가능하다”고 답했다.

한편 주민들의 반응은 냉랭했다. 이날 참여한 달성군 주민 50대 김모씨는 “주민들의 공감과 궁금증을 해소하기보단, 대구시가 이렇게 하겠다고 예고하는 설명회가 된 거 같아 아쉬움이 크게 남는다”고 했다.

/최상진기자csj9662@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