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내 9개 수협의 부실채권 규모가 3000억원을 넘었다고 한다. 지역조합으로선 감당하기 힘든 채권 규모여서 조합마다 비상 경영에 전전긍긍이라는 소식이다.
22대 국정감사에서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경북도내 9개 수협의 부실채권은 3000억원을 넘었고, 영덕 소재 한 조합은 9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밖에도 600∼800억원의 부실채권을 안고 있는 조합도 있고 대부분이 100억원 안팎의 부실채권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부실채권이 많은 이유는 부동산 관련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돈을 빌려주었다가 회수하지 못한 때문이다. 부실채권이 600억원이 넘는 4개 조합은 서울 소재 건설업체가 투자한 오피스텔 부지 등 11개 부동산 현장에 거액을 대출했다가 회수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부동산업계의 무리한 PF가 새마을금고, 신협 등 서민금융업을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는 것은 이미 언론 등을 통해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경북도내 소규모 지역조합에까지 부동산 PF의 손길이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수협은 수산업 종사자의 이익 증진과 금융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조합이다. 조합이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좋은 투자처를 찾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수익률이 높다 해서 조합 본분에 맞지 않는 부동산 PF 투자에 지나치게 많은 대출을 몰아준 것은 옳지 않다. 결국 조합의 존폐를 위협할 지경에 이른 것은 크게 자성할 일이다.
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의 하나인 새마을금고는 PF 등으로 올 상반기만 1조원이 넘는 순손실을 기록했다. 창립이후 최대 규모다. 조합의 통폐합 등 구조조정을 벌이고 있으나 금융시장의 불안요소로 남아 있다.
수협중앙회가 회원조합의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부실채권이 단숨에 해결되기는 쉽지 않다. 지역수협의 건전성 유지를 위한 당국의 특단 대책이 있어야 한다. 단위조합의 자구책 강구는 물론 조합의 건전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특히 부동산 PF의 리스크를 관리할 대책도 마련돼야 한다. 수산업의 근간을 지킬 지역수협이 흔들리는 일이 없도록 당국의 조속한 조치가 있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