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의 재발견 경주의 신성한 보고(寶庫) 선도산 <br/>⑩ 신라 건국 신화와 얽힌 선도산 신모 이야기
경주의 선도산은 아미타삼존상(仙桃山 阿彌陀三尊像)이라는 신라 불교예술의 미학적 완성도를 보여주는 유적과 무열왕릉, 진흥왕릉, 진지왕릉, 문성왕릉, 헌안왕릉 등으로 추정되는 왕의 유택과 만날 수 있는 공간이다.
더불어 신라 건국 신화와 관련된 ‘성스러운 어머니’의 스토리가 깃든 곳이기도 하다.
‘건국 신화’란 한 나라를 만든 시조의 이야기 또는, 왕조가 시발점이 된 설화를 지칭한다. 풀어 쓰면 국가를 세우게 되는 계기와 그 이후의 역사를 다루는 이야기가 바로 건국 신화다.
인류사에서 유래가 드물게 1000년 가까이 존속되며, 찬란한 문화예술 전통을 이어간 신라왕조의 장구한 역사. 당연지사 그에 걸맞은 ‘드라마틱한 건국 신화’가 없을 리 없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등을 포함한 고문헌에 기록된 신라의 건국 신화를 옛이야기 스타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서라벌(신라)에는 6개의 촌락이 있었다. 이를 ‘육부촌’이라 불렀다. 각 촌락에는 촌장이 있어 크고 작은 마을 일을 결정했다. 6촌장들은 화백회의를 열어 민주적 만장일치제를 통해 마을의 대소사를 진행했다. 기원전 69년. 화백회의에선 왕을 추대해 백성들이 보다 편하게 살 수 있도록 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이에 여섯 촌락의 촌장들이 서라벌 남산에 올랐고, 거기서 내려다본 한 우물가에서 신비스러운 기운이 감도는 것을 발견했다. 우물가에 머물던 흰 말이 하늘로 올라간 후 주변을 살피니 커다한 알 하나가 있었다. 그 알에서 사내아이 하나가 나왔는데, 몸에서 빛이 나고, 짐승들도 아이를 경배하듯 고개를 숙였다. 여섯 마을 촌장들은 박혁거세라 아이의 이름을 짓고 왕으로 모셨다. 알에서 나온 아이는 나라 이름을 서라벌이라 하고, 스스로 거서간(최고 통치자) 자리에 올랐다.”
기원전 69년 우물가 알에서 깨어난 박혁거세는
신선 술법 익힌 中서 온 신모가 진한서 낳은 성자
일연의 ‘삼국유사’ 감통편 첫번째 이야기로 담겨
宋서 관련설화 접한 김부식도 ‘삼국사기’에 기록
◆고대 건국 신화 속 성스러운 여성들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채미하의 논문 ‘한국 고대 신모(神母)와 국가제의(國家祭儀)’는 건국 신화가 가지는 특징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거기에선 ‘건국의 영웅’을 낳아 기른 ‘성스러운 어머니’가 언급된다. 신라와 백제, 고구려의 신모(神母·신의 영역에 있는 어머니)는 물론 멀리 고조선시대 신모까지. 이런 설명이다.
“건국 신화는 초현실적·초자연적인 내용을 전함과 동시에 국가의 창업이라는 역사적 사건도 포함하고 있다. 한국 고대 건국신화 역시 신화적 요소와 역사적 요소가 있다. 이러한 한국 고대 건국 신화와 관련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들이 있어 왔다. 이중 신모(神母)는 건국 영웅을 낳고 그들을 기르며 새로운 국가를 건설 내지는 건설하기 위해 떠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거나 시조의 조력자로 나온다. 이와 같은 신모로는 고조선의 웅녀와 고구려의 유화, 백제의 소서노, 신라의 선도산 신모와 알영, 금관가야의 허왕후, 대가야의 정견모주가 있다. 그리고 이들 신모는 죽은 후 국가제의의 대상이기도 했다.”
까마득한 옛날 한 나라가 세워지는 데는 탁월한 힘과 빼어난 지략을 갖춘 영웅의 스토리가 필요했다. 고대국가의 ‘건국 주도자’는 대부분이 남성임을 부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상당수 설화나 전설이 그렇듯 건국 신화에도 여성은 반드시 등장한다. 신라라고 예외일 수 없다. 바로 그 여성이 ‘선도산 신모’와 ‘알영’ 등이다. 그렇다면 알영은 어떤 인물일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펼쳐 본다.
“박혁거세가 왕이 된 후 어느 날이다. 서라벌의 알영 우물가에 닭의 형상을 한 용이 나타난다. 그 신비한 짐승의 겨드랑이에서 여자아이가 태어났으니 그녀가 바로 알영이다. 미모가 빼어났고, 피부는 백옥처럼 맑았다. 하지만, 흉측하게도 인간의 입술이 아닌 닭의 부리가 달려있었다. 놀란 사람들이 서둘러 북쪽 냇가로 데려가 깨끗하게 몸을 씻기니 마침내 닭의 부리가 떨어졌다. 이 여자아이가 자라 열세 살이 되자 박혁거세가 아내로 삼았다. 서라벌 백성들은 자신들의 왕과 더불어 왕비가 된 알영까지 성인(聖人)으로 받들며 기뻐했다.”
◆신라의 첫 번째 왕 박혁거세를 낳은 사람은…
신라 건국 신화의 주인공은 누가 뭐래도 고대왕국 서라벌의 첫 번째 통치자 박혁거세다.
한양대 고운기 교수는 그의 책 ‘인물한국사’에서 박혁거세에 관해 “기원전 69년에 태어났다. 동해안의 한 바닷가에서 어진 사제 의선의 지도를 받아 성장해 우리나라 고대왕권국가의 문을 여는 신라를 세웠다”고 쓴다.
이는 “고구려의 동명왕보다 20년 먼저, 백제의 온조왕보다 40년이 앞선 시점이었다. 그는 어진 왕이었으며 지혜로운 왕이었다. 나라를 다스린 지 61년 만인 서기 3년, 혁거세는 하늘로 올라가고 7일 뒤에 몸만 땅으로 흩어 떨어졌다”는 것 역시 고 교수의 설명이다.
박혁거세의 아내는 앞서 쓴 것처럼 ‘닭의 부리를 가지고 태어난 여성’ 알영. 그렇다면 신라를 태동시킨 ‘지혜롭고 어진 왕’ 박혁거세의 어머니는 누구일까?
백마가 머물다 떠난 서라벌 어느 우물가에 놓인 알에서 박혁거세가 나왔다는 난생설화(卵生說話·사람이 알에서 탄생했다는 이야기)에 기반한 신라 건국 신화의 또 다른 주요 등장인물이 궁금해지는 것이다.
이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을 찾아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기술돼 있다.
“선도산 신모(仙桃山神母)·선도 성모(仙桃聖母)라고 불리는 전설 속 인물은 중국 황실의 딸로 일찍이 신선의 술법을 배워 해동(海東)에 와서 머물렀다. 그리고는 오랫동안 돌아가지 않았다. 그러자 아버지가 편지를 보내 이르기를 솔개가 머무는 곳에 집을 지으라고 했다. 이에 솔개를 놓아 보내자 선도산으로 날아가 멈추므로 그곳에 집을 짓고 살아 지선(地仙)이 됐다. 오랫동안 이 산에 웅거하면서 나라를 지켰는데 이상하고 신령스러운 일이 많았다. 그녀가 처음 진한(辰韓)에 와서 성자(聖子)를 낳아 동국의 첫 임금이 되었으니 반드시 혁거세(赫居世)와 알영(閼英)을 낳았을 것이다.”
◆선도산 신모에 관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기록
사람이 알을 낳았다는 것 자체가 합리성과 이성을 갖춘 21세기 사람들의 과학 상식으로는 이해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신라의 건국 신화는 자그마치 2000년 전에 만들어진 이야기. 과장과 허구가 배제될 수 없다. 현재 존재하는 사람들 중 누구도 직접 본 바 없으니, ‘알에서 태어났다는 박혁거세의 어머니(선도산 신모)’는 풍문과 설화, 고문헌의 짤막한 기록에서만 그 모습을 희미하게 드러낸다.
그러니, 그녀의 삶과 죽음, 행적 역시 기록자에 따라 엇갈릴 수밖에 없다. 하나의 의미망 안에 포획하기가 어려운 걸 넘어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 등을 통해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다시 고운기의 ‘인물한국사’로 돌아간다.
“고려 예종 11년(1116년). 김부식이 송나라 조정에 갔다. 일행을 접대하는 송나라 사람 왕보(王<9EFC>)가 사당에 걸린 선녀의 초상을 보여주며 ‘옛날 어느 제왕의 딸이 바다 건너 진한에 가서 아들을 낳았는데, 그가 곧 해동의 첫 임금이다. 그녀는 오랫동안 선도산에 살았는데 이것이 그 초상화’라고 말했다. 일연의 ‘삼국유사’ 감통편은 선도산 신모 이야기로 시작된다. 신모는 본디 중국 황실의 딸로 이름은 사소(娑蘇)였다. 신선의 술법을 익혀 동쪽 나라에서 살았다. 신선이 되어 집을 짓고 지낸 곳이 서연산(西鳶山)이었다. 그 신모가 진한에 왔을 때 성스러운 아들을 낳아 동국의 첫 임금이 되게 했다.”
이상이 두 고문헌의 기록을 풀어 쓴 것이다. 이것만으로는 선도산 신모를 둘러싼 비밀이 명쾌하게 풀렸다고 할 수 없을 듯하다. 여전히 어려운 문제다. <계속>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사진/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