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서울시 등이 도입한 이 제도는 공공건축물의 기획, 설계 과정에 민간 건축전문가들을 투입해 건축물의 공공성을 높이고, 도시 특색이 반영된 건축물 건립 등으로 도시의 디자인 경쟁력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전국의 많은 도시들이 제도 도입을 통해 공공건축물의 디자인을 새롭게 개발하는 등 나름의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경북 영주시는 공공건축가제도를 통해 건립한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영주실내수영장 등은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공모에서 3년 연속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내 전국의 주목을 받았다.
공공건축물은 기본적으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이자 지역 주민의 커뮤니티 거점이다. 경우에 따라 지역의 관광명소가 될 수도 있는 장소다. 영국 런던의 테이트 모던이나 바르셀로나 구겐하임 미술관 등은 도심을 활성화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 도쿄에서 450km가 떨어진 이와테현 시와쵸는 인구 3만8000명의 소도시이나 민관이 합심하여 중앙역 앞에 복합시설을 만들어 연간 80만명의 사람들이 찾아오는 명소로 만들었다. 시와쵸는 공공사업을 시작하면서 지자체가 직접 나서지 않고 민간 중심의 제3섹터 사업으로 추진한 것이 사업 성공률을 높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대구시도 외국의 성공 사례를 충분히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대구에는 앞으로 신공항 건설. 군부대 후적지, 대구시 신청사 등 대규모 공공건축사업의 발주가 예정돼 있다. 고층 아파트만 즐비한 대구 도심에 대구의 정체성을 강조한 각종 공공건축물이 들어선다면 도시 디자인이나 도시경관이 확 바뀔 수 있다.
대구시가 선정한 경험이 풍부한 36명의 전문 건축가들의 활약에 따라서는 대구시의 도시 이미지를 높이고 경쟁력도 높일 수 있으니 시민들의 기대도 크다. 대구시가 도입하는 공공건축가제도가 늦었지만 성과만큼은 전국 최고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