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민주화운동의 다른 얼굴

등록일 2024-07-04 19:47 게재일 2024-07-05 18면
스크랩버튼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대한민국의 오늘이 있기까지 산업화와 민주화가 두 축을 이루었다는 것은 대다수 국민들이 인정하는 바다. 일제의 식민통치에서 해방된 당시에는 우리 손으로 이룬 산업화나 민주화의 축적이 거의 없었다. 물론 강화도조약 이후 개화기의 서구문물의 유입과 3·1운동을 거치면서 탈전제군주제에 대한 인식이 싹트기 시작했지만, 국가라는 제도권에 대한 민주화운동으로 보기는 어렵다. 역사적 실적이 전무한 상태에서 38도선 이북은 김일성의 의해 공산주의체제가 들어섰고, 이남은 이승만의 주도로 자유민주주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민주화운동의 뿌리를 찾자면 동학혁명이나 3·1운동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이다. 탐관오리의 가렴주구에 반발한 농민들의 봉기나 일제의 국권찬탈에 저항한 만세운동의 정신을 후일 민주화운동의 근원으로 볼 수 있을 터이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본격적인 민주화운동은 1960년의 4·19혁명, 1979년 부마민주항쟁,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1987년 6월항쟁 등으로 이어지는 계보를 갖는다. 그러다 1990년대부터는 차츰 다른 얼굴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민주화운동의 한 줄기인 노동운동은, 평화시장 재단사 전태일의 분신으로 일대 전환기를 맞았다. 그의 희생을 계기로 많은 사람들이 노동자의 권리와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여러 차례 법의 개정과 노동조합의 결성 같은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그러나 그 때의 노동운동과 공룡화 된 지금 노동조합의 행태는 같은 얼굴이 아니다. 노동자들의 인권과 복리 신장을 위한 운동에서 정치세력화 된 집단으로, 사회를 전복하려는 이념집단의 행태까지 보이고 있다.

문재인 정권 시절에 대거 정치판에 유입된 운동권 출신들은 대한민국의 정치 판도를 바꾸어 놓았다. 그들은 더 이상 자유와 인권을 위해 투쟁하는 운동가의 얼굴이 아니었다. 오히려 기껏 이루어 놓은 민주화를 역행하는 행태를 서슴지 않았다.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부정하는가 하면 산업화를 폄훼하고 저들의 좌편향 정치이념을 밀어붙이는 독선적인 행태를 일삼았다. 그런 가운데 비리와 부정과 무능도 과거 어느 정권보다 심했다.

지금 입법부를 장악한 ‘운동권’ 세력들의 행태는 ‘인간의 얼굴을 한 야만’이라는 말을 떠올리게 한다. 민주화는커녕, 가장 비민주적인 북한의 ‘어버이 수령 체제’를 방불케 한다. 170석의 거대 정당이 철저하게 사당화 되어 당 대표는 독재자를 넘어 사이비종교의 교주나 다름이 없는 지위를 갖는다. 산더미처럼 크고도 많은 사법리스크를 안고 있는 대표를 결사옹위하기 위해 저들이 벌이는 온갖 작태는 광기란 말밖에는 대신할 말이 없을 지경이다.

온갖 협박과 탄압에 좌고우면하던 검찰과 사법부가 더 이상은 참을 수가 없었는지 수사와 판결에 속도를 내고 있는 정황이다. 이재명과 조국을 비롯한 야당의 범죄혐의자들은 결국 시시각각 죄어드는 법망을 피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당의‘아버지’ 방탄을 위해서는 못할 짓이 없는 저들의 행태가 어디까지 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浮雲世說(부운세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