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 ‘섬김행정’ 실천 앞장<br/>보훈·참전수당 각 3만원씩 상향<br/>90세이상 특별수당 전국 첫 도입<br/>공적비 건립·충혼탑 시설 개선 등<br/>일상 속 보훈 분위기 확산 노력도
대구 달성군이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 및 유족의 명예 선양과 자긍심 고취를 목표로 최고의 예우 행정을 펼치고 있다.
올해는 지난 6일 현충일뿐 아니라 일상에서 국가유공자를 예우하는 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차별화된 보훈복지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보훈 관련 예산 33억3000만원 ‘역대 최대’… 지자체 첫 특별명예수당도
달성군은 국가유공자들이 영예로운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새롭게 예산을 편성했다. 총 33억3000만원으로, 달성군 보훈 관련 예산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예산은 △참전명예수당 및 보훈예우수당 27억3000만원 △참전유공자 특별 위로금 및 사망위로금 3억원 △90세 이상 참전유공자 특별명예수당 2억4500만원 △독립유공자·유족의료비 지원 및 생계곤란 독립유공자 유족 특별 위로금 5500만원 등이다.
전몰군경, 순직군경, 특수임무수행자, 애국지사 유족, 무공수훈자, 고엽제 후유(의)증자 등 국가보훈대상자 1200여 명에게 매월 지급하는 보훈예우수당은 7만원에서 10만원으로 인상했다. 참전명예수당도 매월 10만원에서 13만원으로 올려 770여 명에게 지급하고 있다. 참전유공자의 배우자 수당도 매월 7만원에서 10만원으로 확대해 180여 명에게 지원하고 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최초로 편성한 참전유공자 특별 위로금 30만원도 매월 지급하고 있다.
올해 지자체 중 처음으로 90세 이상 참전유공자에 대한 혜택을 강화하는 특별명예수당을 도입해 매월 17만원을 100여 명에게 지원한다.
△‘일상 속 살아있는 보훈’ 분위기 확산
일상 속 호국보훈 분위기 확산을 위한 호국 공적비 건립도 진행한다. 2억8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설계 중이며, 오는 9월 준공 예정이다. 공적비에는 상이군경회 372명, 고엽제전우회 688명, 특수임무유공자회 13명의 이름을 새겨 후손들의 국가 안보 의식을 높이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한다.
군청 민원인 전용 주차장에 국가유공자 우선 주차구역 2면을 설치해 군청을 찾는 국가유공자들이 자부심을 느끼고, 군민들도 이들을 향한 존경심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
현풍읍 충혼탑에는 예산 1400만원을 들여 계단 안전손잡이를 설치, 고령의 보훈가족들이 충혼탑을 조금 더 수월하게 오갈 수 있도록 했다.
△보훈가족 자부심 채우는 기념행사 확대
현충일 추념식, 6·25전쟁 기념행사, 향군 창설 한마음 단합대회, 안보결의 대회 등 매년 열리는 보훈단체별 행사를 최근 더욱 확대하고 있다.
대표 행사인 ‘달성군 보훈가족 감사한마당’은 지난해 처음 시작돼 표창 수여, 감사패 전달, 기념공연 등을 실시하며, 지난해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시작한 ‘해외파병용사의 날 기념행사’는 400여 명의 해외파병용사를 위한 의장대 공연 등이 풍성하게 펼쳐졌다.
6·25전쟁 74주년을 맞아 호국영웅 가정 30곳을 방문해 가족사진을 촬영한 후 액자에 담아 전달하고, 장수사진(영정사진)도 촬영하는 등 보훈가족에게 뜻깊은 추억을 선사하고 있다.
안보현장을 방문하는 ‘보훈단체 안보 큰 걸음행사’도 다음 달 열린다. 6·25참전유공자회 달성군지회를 중심으로 달성군의 10개 보훈안보단체가 함께한다.
이 밖에도 전몰·순직 군경의 미성년 자녀를 위한 국가보훈부의 경제적·정서적 맞춤형 종합 지원 사업인 ‘히어로즈 패밀리 프로그램’에 달성군수 멘토 위촉, 국가유공자 우대 병원 지정 운영 등의 활동도 이어지고 있다.
최재훈 달성군수는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분들께 존경과 감사를 전하고, 남겨진 가족들을 세심하게 살피고 보듬는 것이 지역의 책임”이라며 “촘촘하고 두터운 보훈복지 증진을 위해 앞으로도 노력하는 달성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