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란 1만 명이 본다면 1만 개의 해석과 감상이 나올 수 있는 예술 장르다. 각자가 가진 세계관과 처한 입장, 정치·경제·사회적 문제를 대하는 태도에 따라 관객마다 다른 감상문을 남길 수 있다는 이야기. 그렇다면, 영화 해석과 감상에 세대 차이도 존재할까? 이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동일한 영화를 선택해 서로 다른 지향과 목표를 가지고 판이한 시절을 살아온 두 세대가 리뷰를 써보기로 했다. X세대인 본지 홍성식(1971년생) 특집부장과 MZ세대인 성지영(2002년생) 인턴기자가 이 흥미로운 실험에 참여했다. 리뷰 대상으로 지목된 영화는 ‘퓨리오사: 매드 맥스 사가’다. / 편집자 주
“상업성 갖춘 매력적인 작품 철학적 성찰의 부재 아쉬워”
X세대의 눈
“영화란 답답하고 변화 없는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신나는 꿈을 꾸는 순간”이라 말하는 이들에겐 이 영화와의 만남이 더없이 즐거운 시간이었을 게 분명하다.
골라 뽑은 미남·미녀 주연배우의 흠 잡을 것없는 연기에 전작(前作)에서도 이미 증명된 조지 밀러 감독의 스릴감 넘치는 연출, 여기에 박진감 가득한 자동차 추격신과 사실적인 전투신 등 할리우드 스타일의 다양한 흥미 유발 요소들까지.
최근 개봉해 흥행 가도를 거침없이 달려가는 영화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이야기다. ‘대중예술로서의 영화’ ‘산업으로서의 영화’에 포커스를 맞출 것 같으면 이 작품은 비판의 여지를 거의 주지 않는다.
일단 시원시원하고 재밌다. 음악과 미술 등 각종 예술 장르가 유기적으로 결합해 최고의 상업성을 갖춘 매력적인 상품으로 탄생했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 게다가 영화의 스토리는 ‘구조’라는 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간단하다.
평화와 안정을 지향하는 작은 공동체에서 살던 여자아이가 악당에게 엄마를 잃는다. 소녀의 불구대천(不俱戴天) 원수가 된 사람은 폐허로 변한 세상에서 에너지의 독점을 통해 인간을 지배하려는 독특한 캐릭터의 악당. 소녀는 지난하고 힘겨운 과정을 거쳐 악당의 숨통을 끊는 것으로 복수에 성공한다.
2시간이 훌쩍 넘는 꽤 긴 영화를 단 160자로 요약할 수 있다는 건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는 관람 시간 내내 고민할 게 하나도 없는 영화라는 뜻이 아닐까?
‘재밌는 상업영화=철학이 부재한 유치한 작품’이란 등식은 독선적이고 낡아 보인다. 그렇다고 이 등식이 무용할까?
재미에 초점을 맞추고 영화를 선택하는 관객이 있다면, “영화란 한가한 인간들의 시간 때우기용 팝콘이 아닌 변혁의 수단”이라 말하는 관객도 분명 존재한다.
사회 진화와 인간의 성장 과정에서 영화가 미치는 힘을 믿는 이들에겐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를 보고 있는 시간이 지겹고 무료했을 터.
왜냐? 영화의 핵심이자 키워드라 할 수 있는 퓨리오사가 갖은 모욕과 고통을 견디며 아이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엔 인간적 성찰과 복합적 고뇌가 빠져 있다.
그저 “내 엄마를 죽인 원수를 기필코 갚고야 말겠다”는 20세기식 단순한 절치부심(切齒腐心)만으로 세련된 21세기 영화팬들에게 수긍의 고개 끄덕임을 얻어낼 수 있을까?
대부분의 인간은 영화 속 퓨리오사처럼 그렇게 단순한 존재가 아니다. 행동의 저변에 그 행동을 추동하는 수십, 수백 가지의 이유를 가지는 게 보편의 인간. 복수심 하나만으로 평생을 사는 사람은 극히 드물거나 아예 없다.‘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의 또 다른 주인공이라 할 악당 디멘투스의 캐릭터 역시 단선적이고 맹목적으로 느껴진다. ‘좋은 영화’의 기본이라 할 인물의 캐릭터 형성에 실패한 것이다. 이는 영화의 핍진성을 떨어뜨리는 치명적인 결점이다.
‘문명’이라 부를만한 것들은 모조리 사라지고, 모래바람 부는 황량한 땅에 합리적이지 못한 극단의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 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갈등과 반목에 카메라를 들이댄 영화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극장에 들어서기 전엔 우리의 기대와는 달리 디스토피아가 돼버린 미래와 그런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 인간들에 관한 철학적 성찰이 아주 조금은 보일 것이라 기대했다. 그러나, 기대는 기대만으로 끝났다. 매번 속으면서도 할리우드의 영화 홍보 방식에 또 속았다는 느낌. 영화를 본 후 입맛이 씁쓸했다.
“‘사이다’보단 ‘찜찜’했던 복수 그와 같은 존재가 돼야 했나”
MZ세대의 눈
액션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다. 극장에 앉은 148분 중 120분 이상을 누군가를 찌르고 협박하는 영상물을 왜 봐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포스터를 본 순간부터 영화관에 들어가는 순간까지 어깨는 움츠린 채로, 눈은 반쯤 감은 채로 영화를 봤다.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는 2015년에 개봉된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의 이전 이야기를 다루는 작품. 퓨리오사는 ‘시타델’의 사령관으로 황무지가 된 세상에서 물을 차지하고 있는 임모탄의 충실한 부하다. 최근 공개된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에서는 그녀가 어떻게 시타델이 들어오게 되었고, 왜 갑자기 임모탄을 배신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담겼다.
영화를 보면서 퓨리오사의 MBTI가 ESTP임을 확신했다. 그 이유는 기자라면 절대 하지 않았을 선택들을 너무 많이 했기 때문. 기자는 ENFJ로 퓨리오사와 정반대되는 사람이다. 퓨리오사는 모험심이 넘치다 못해 지나치고, 의리에 휘둘리는 인간이라 도망칠 수 있는 상황에도 다시 위험 속으로 뛰어든다. 물론 그녀의 극단적인 성격들로 인해 148분이라는 긴 러닝타임이 짧게 느껴지긴 하지만.
퓨리오사는 어머니를 죽이고 시타델로 자신을 팔아버린 디멘투스를 죽이고, 고향인 ‘풍요의 땅’으로 돌아가기 위해 시타델로부터 도망치려 한다. 원했던 결과를 이루기 위해선 시타델의 상위 계층에 속해야 했다. 그랬기에 퓨리오사가 임모탄의 충실한 사령관인 척했던 것.
영화에서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은 퓨리오사가 디멘투스에 머리에 총을 겨눈 채 나누는 대화다. 디멘투스 자신을 죽이려는 퓨리오사를 향해 “우리는 이미 죽은 자들이야”라고 말한다. 이 말은 즉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명 그 자체의 소중함은 잃은 채 죽음에서 오는 자극만을 쫓고 있는 본인과 퓨리오사는 이미 정식적으론 죽은 자들이며, 퓨리오사가 자신을 죽이더라도 허망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듯하다.
디멘투스의 말엔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 ‘이에는 이 눈에는 눈’ 식의 복수는 결국 복수를 하고자 하는 상대와 나를 동일한 존재로 만든다. 그럼에도 복수까지의 여정은 늘 짜릿하기에 퓨리오사는 복수를 멈출 수 없었던 게 아닐지.
일부 관객은 디멘투스가 죽지도 살지도 못하는 입장에 처한 마지막 장면을 보면서 ‘사이다’를 느꼈는지 모르겠지만 기자는 이 장면이 찜찜했다. 복수가 주는 짧은 짜릿함을 느끼기 위해 복수를 하고자 하는 대상과 같은 존재가 되는 건 적어도 기자에겐 어리석은 일처럼 보인 탓이다.
‘매드맥스’ 시리즈는 황무지가 된 세상에서 물, 무기, 기름을 차지한 세 집단들의 생존기를 담은 영화다. 그런데, 인간이 물, 무기, 기름이라는 ‘자연물’ 을 완전히 소유 하고 이를 기반으로 권력을 휘두르는 것이 당연한 걸까?
감독은 자연물을 기괴한 형태로 소유하고 있는 세 집단을 등장시킴으로써 ‘인간이 궁극적으로 완전히 소유할 수 있는 것이 존재하는가?’라는 무겁고 철학적인 질문을 대중들에게 던지고 싶었던 것 같다.
자연에서 오는 것들 중 우리가 완전히 소유 할 수 있는 건 없다. 잠시 그걸 가졌다고 착각할 뿐, 결국 그 모든 것들은 자연에게 돌려줘야 한다.
퓨리오사도 디멘투스에 대한 복수는 ‘소유’했지만. 그의 생명까지 온전히 ‘소유’할 수는 없었다. 과연 퓨리오사에겐 디멘투스의 생명의 빼앗는 방식의 복수만이 유일했던 것일까?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는 이런 의문을 부르는 영화다.
/홍성식·성지영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