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진 국립해양과학관, ‘2024 아시아해역 해양과학 청년포럼’성료

장인설기자
등록일 2024-04-18 14:15 게재일 2024-04-18
스크랩버튼
동아시아해역 해양과학 청년포럼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관제공
동아시아해역 해양과학 청년포럼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관제공

국립해양과학관은 동아시아해역 해양환경 관리 협력기구(이하 PEMSEA)와 함께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PEMSEA 10개 회원국 청년 대표단 19명을 대상으로 ‘동아시아해역 해양과학 청년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 참가한 PEMSEA 회원국은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등이다.

이번 청년포럼은 오는 11월 중국 샤먼에서 개최되는 동아시아해양회의(2024 EAS Congress)의 일환으로, ‘동아시아해역의 지속가능하고 회복력있는 Blue Solution’을 주제로 열렸다.

이번 포럼은 ‘한국의 해양환경 보전정책 소개’ 기조강연(해양환경공단 김영남 박사)을 시작으로 다양한 전문가들의 강연과 토론이 다채롭게 진행됐다.

KIOST 조홍연 박사의 해양 빅데이터 활용‧분석 소개, KIOST 이기섭 박사의 R 프로그램 활용 해양데이터 통계분석 실습, AriBIO 박영찬 이사의 울진의 보배, 해양심층 염지하수 개발성과, 우시산 변의현 대표의 해양쓰레기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사업 성공사례, 과학관 배진호 팀장의 해양생물 다양성 회복사업 성과, (사)플랜오션 이영란 대표의 고래류 등 해양동물 구조‧치료 현장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각국의 청년대표 참가자들은 이번 포럼에서 진행된 다양한 강연과 토론을 통해 해양 보전 프로젝트와 이니셔티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기술과 혁신을 활용하여 해양환경 문제에 대한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해양의 중요성을 커뮤니티에 교육하고, 해양생태계를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한 정책을 옹호하는 지역 청년 운동을 조직할 것을 약속했다.

또한 청년들은 정부, 민간, 시민사회, 국제기구에 청년의 참여를 보장하는 정책 수립, 해양 교육과 역량 강화 기회에 대한 보편적 접근, 지속 가능한 해양 경제와 해양 보전 노력에 대한 투자 강화 등의 행동을 촉구했다.

포럼에 한국대표단으로 참가한 유민수(28·부경대 박사과정) 학생은 “평소 대학원 생활에서 배울 수 없는 다양한 해양과학 분야를 공부할 수 있어 기쁘다”며,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참가한 청년들과 글로벌 해양 이슈에 대해 많은 토론을 하며 이들의 생각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김외철 국립해양과학관장은 “이번 포럼은 과학관이 글로벌 명품과학관으로 도약하기 위해 국제기구와 협력한 첫 사례”라며, “앞으로도 국내외 우수한 해양 전문기관과 함께 다양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PEMSEA는 필리핀(퀘존시)에 사무국을 두고, 통합관리 솔루션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동아시아 전역의 건강하고 회복력 있는 연안과 해양, 지역 사회 및 경제를 육성하기 위한 지역 파트너십 메커니즘으로 1994년 설립된 국제기구이다.

PEMSEA은 해양과학관과는 지난해 11월 해양환경교육 및 해양인식 증진 분야 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장인설기자 jang3338@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