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춘분(春分)과 명리 이야기

등록일 2024-01-17 19:42 게재일 2024-01-18 17면
스크랩버튼
이지안作 ‘fullness’

24절기 가운데 네 번째 절기가 춘분(春分)이다. 태양의 황경이 0도에 위치하며, 2024년에는 3월 20일(음력 2월 11일)이다. 음력으로는 2월의 절기다.

춘분은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중간에 있는 절기다. 이날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이 황도(黃道)와 적도(赤道)가 교차하는 춘분점(春分點)에 이르렀을 때다. 태양의 중심이 적도(赤道) 위를 똑바로 비추어서 양(陽)이 정동(正東)에, 음(陰)이 정서(正西)에 있어 거리가 가장 짧은 때라서 춘분이라 한다.

춘분의 한자를 풀이하면 ‘봄을 나누다’라는 뜻이다. 흔히 밤낮의 길이가 같은 날이라고 말한다. 낮이 조금 더 길다. 이때부터는 날씨가 따뜻해짐을 느끼게 된다. 아직 음력 2월이라 바람이 많이 분다.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아직도 바람은 차다. 이는 바람신이 샘이 나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게 하기 때문이라 한다. 그래서 ‘꽃샘’이라 한다.

춘분 이후 본격적으로 봄기운이 완연해지면서 봄을 맞이하기 위한 다양한 풍습이 전해져 왔다. 춘분에 씨앗을 뿌리면 잘 자란다는 속설이 있다. 또한 개구리가 울기 시작한다고 하여 그 소리를 듣고 봄이 왔음을 느낄 수 있다. 꽃이 피고 나뭇잎이 돋아나며 움츠러들었던 몸과 마음이 열리면서 활력을 되찾는 시기다.

농경사회에서는 날씨의 변화를 잘 예측하는 것이 생존에 필수적이었다. 춘분날의 날씨를 보아 농사의 풍작과 흉작, 그리고 수해와 가뭄을 점치기도 했다. 이때는 목(木) 기운인 양(陽)이 왕성하기 시작하니 음(陰)의 지배를 받는 것을 더 좋게 여겼다. 그래서 이날 비가 오거나 구름이 많으면 음양의 조화가 잘 되어 질병이 없고 곡식이 잘 자란다고 믿었다.

춘분은 음력 2월이므로, 주역으로 보면 뇌천대장(雷天大壯)괘다. 대장(大壯)의 대(大)는 양(陽)이고, 장(壯)은 왕성하다는 뜻이다. 위에서는 천둥이 치고, 아래에는 하늘이 있는 모습이다. 즉, 하늘 위에서 벼락이 치는 모습의 대장(大壯)은 그 기운은 지극히 크고 지극히 강한 것이다. 세상에 두려울 것이 없는 형상이다.

잡괘전에서는 ‘대장괘는 멈춘다’라고 했다. 힘이 넘쳐나는 것을 경계한 것이다. 그 힘이 올바른 방향으로 사용된다면 힘이 넘칠수록 이롭다. 하지만 바람직하지 못한 곳으로 간다면 피해는 심각해지는 것이다.

결국은 절제를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힘을 써야 하는 이유다. 마치 하늘 위에서 우레가 치는 것이 대장(大壯)괘니, 군자는 이것을 보고 예(禮)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다고 한다. 군자는 넘치는 힘을 보고 자신을 절제하여 도리에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우리는 흔히 잘 나갈 때 조심하라는 말을 한다. 마치 호사다마(好事多魔)와 같다. 좋은 일이 생기면 나쁜 일도 있기 마련이다. 어떤 현상이 나타날 때는 반드시 조짐이 먼저 나타난다. 이 조짐은 미세하고 은미한 것이기에 반드시 마음을 깨끗하고 고요히 해야 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묘(卯)월에 태어난 사람은 음의 성질이 있어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할 경우, 자신을 포함한 주변 사람과의 관계를 잘 고려해서 현명하고 이상적인 판단을 내리는 힘이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부드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내면에는 이해타산적인 마음도 숨어 있다. 하지만 토끼가 뛰어다니듯 명랑하고 부지런한 성격의 소유자다.

새로운 일을 추진할 때는 자신감이 있게 행동한다. 어떤 난관에서도 걱정하지 않고 마음껏 자신의 뜻을 펼치는 기운이 있다. 특유의 유연성으로 문제 해결에 탁월한 재능을 발휘하는 장점이 있다. 너무 자신만만하기에 자칫 실수하여 스스로 무너지는 것이 단점이다.

류대창명리연구자
류대창 명리연구자

춘분을 전후해서 세계 여러 곳에서 축제를 연다. 옛날에는 마을에서 춘분제를 지내면서 풍요와 행운을 기원하는 시간을 가졌다. 춘분제는 삼국시대에 시작됐으며, 조선시대에도 계속되었다. 봄을 상징하는 꽃은 개나리, 진달래, 벚꽃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벚꽃을 소재로 삼는 벚꽃축제를 으뜸으로 여겼다.

중국에서는 춘분 전후 7일간을 극락세계에서 다시 태어나는 극락왕생의 기간으로 여겼다. 또 일본에서는 춘분을 돌아가신 조상을 모시는 날로 여겼고, 벚꽃축제를 즐기는 공휴일로 삼았다. 중동지역에서는 춘분을 ‘누루즈’라고 부른다. 우리의 설날 같은 명절이다. 기독교에서도 춘분은 대단히 중요하다. 예수의 죽음과 부활이 있던 파스카(유월절)가 이스라엘 전통에서는 춘분축제에 해당했다. 기독교의 부활절도 춘분을 기준으로 날짜가 정해진다. 춘분이 지난 뒤 보름달이 뜨는 날 다음에 오는 일요일이 부활절인 것이다.

춘분은 전 세계인이 즐기며 기념하는 축제날이다. 그만큼 봄을 중요시했고, 한 해의 시작점으로 보았다. 이때 제비가 남쪽에서 날아오고, 새 생명이 발동하는 중요한 절기이기 때문이다.

류대창의 명리인문학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