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가운데 첫 번째가 입춘(立春)이다. 태양의 황경이 315도에 위치하며, 2024년에는 2월 4일(음력 12월 25일)이 입춘이다.
입춘은 24절기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다. 음력 1월에 해당하며, 새해를 상징한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의 기준이 되는 첫 번째 절기로 큰 의미가 있었다. 명리 사주에서는 입춘을 일 년의 시작점으로 보기에 2024년 2월 4일 이후에 태어나야 갑진년(甲辰年) 용띠가 되는 것이다. 참고로 서양 점성술에는 춘분(春分)을 일 년의 시작점으로 본다. 태양의 황경이 0도이기 때문이다.
입춘은 봄이 시작된다는 뜻이다. 명리학에서는 인월(寅月)에 해당한다. 인월은 절기로 입춘과 우수(雨水)를 포함한다.
한자 인(寅)을 풀이하면 씨앗이 땅속에 뿌리를 내리고, 새싹이 올라오는 형태다. 언 땅에서 새로운 생명이 움을 트는 시기가 인월이며, 시작점이 입춘이다. 절기 중에서 설립(立)자로 시작하는 절기는 입춘, 입하(立夏), 입추(立秋), 입동(立冬)이 있다.
입춘은 만물의 움직임이 시작하는 시점으로, 봄을 의미하는 목(木) 기운이 태동하는 시기다. 날씨는 아직 춥지만, 입춘은 글자 그대로 ‘봄이 일어나는 시기’다. 이때 농촌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거름 준비하기와 종자 손질하기다. 건실한 종자를 찾고, 종자가 뿌리를 잘 내리도록 땅에 영양분을 주는 것은 한 해 농사를 결정하는 중요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입춘은 봄의 시작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항상 꽃샘추위를 동반한다. 이런 날씨를 반영하듯 ‘입춘에 장독 깨진다’는 속담이 있다. 이 무렵 추위가 매서워 장독이 얼어서 깨진다는 말이다. 예로부터 입춘이 되면 동풍이 불고, 얼음이 풀리며, 동면하던 벌레들이 깨어난다고 한다.
전한(前漢)의 회남왕 유안(劉安·기원전 179~122)이 저술한 ‘회남자(淮南子)’ 권5 ‘시칙(時則)’에 보면 음력 1월인 정월에는 초요(招搖·북두칠성 자루 끝에 있는 별)가 인(寅) 방향을 가리킨다. 봄의 시작이므로 오행으로는 목(木)에 해당하며, 덕(德)을 상징한다. 방위는 동쪽이다. 수(數)로는 8이고, 색으로는 청색이다.
입춘 날에 천자는 상대부들을 거느리고 동쪽 교외에서 봄을 맞이하고, 사당을 수리하고 신위(神位)를 청소하며, 귀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복을 빌며, 희생물로는 수컷을 사용한다. 이달에는 벌목을 금지하고, 새 둥지를 부수거나 태(胎) 속의 새끼를 죽이지 못하게 하며, 어린 사슴을 잡지 못하게 하고, 부화 중인 알을 취하지 못하게 한다.
계절에 맞는 정치를 하는 것은 농경사회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바람으로 자연과 인간생활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1월 인월은 주역으로는 지천태(地天泰) 괘다. 땅인 곤괘는 위에 있고, 하늘인 건괘가 아래에 있다. 음(陰)은 가고, 양(陽)이 오니 길하고 형통하다는 뜻이 있다.
천지가 교차하고 해와 달이 만나는 계절이라 만물이 형통하다. 그래서 지천태 괘가 나왔다면 모든 일에 원만하다고 볼 수 있다. 인월에 태어난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묵묵히 전진하는 태도는 지천태의 장점이기도 하다.
인(寅)은 동물로 호랑이다. 호랑이는 힘과 권력을 상징한다. 또한 먹이 사냥 때문에 이동이 많아 외지에 살며, 행동이 빠르고, 포부도 크다. 새해 첫 달이라 이제 막 태어난 아이처럼 순수한 면이 있다.
성장기를 맞이한 만큼 난생처음이라는 말처럼 많은 어려움과 고초가 있으나, 고난과 시련 앞에 의연하게 대처하는 굳은 의지와 신념이 요구된다.
옛날에는 입춘첩(立春帖)에‘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란 글귀를 써서 대문에 붙이고 복을 기원하기도 했다. ‘입춘을 기점으로 크게 길할 것이다. 양기를 바로 세움으로 해서 경사가 넘칠 것이다’라는 뜻이다. 입춘 날, 입춘 시(2024년 2월 4일 17시27분 이전에)에 입춘첩을 붙이면 ‘굿 한 번 하는 것보다 낫다’라는 속담도 있다. 음식으로는 파, 마늘, 달래, 부추, 무릇 등 다섯 가지 매운 나물 오신채(五辛菜)을 먹었다. 첫 절기에 맵고 쓴 오신채를 먹어 삶의 쓴맛을 미리 깨우치고 참을성을 키운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입춘은 한 해의 시작이므로 다른 절기보다는 점(占)에 관한 기록이 많다. 입춘이 음력설보다 빠르면 그해 봄은 춥다고 한다. 입춘이 음력 섣달에 갇혀 있는 형국에서 비롯된 속설이다. 입춘의 일진(日辰)에 따라 농사를 예측하기도 한다. 일진이 갑을(甲乙)이면 풍년이고, 병정(丙丁)이면 큰 가뭄이 일어난다. 임계(壬癸)면 큰 홍수가 일어난다. 또는 입춘 날에 맑고 바람이 없으면 풍년이 들고, 눈이나 비가 오고 바람이 불면 흉년이 든다고도 한다.
입춘이 지나면 곧바로 설이다. 새해에는 덕담으로 ‘복 많이 받으세요’라고 인사를 한다. 복은 받는 것이 아니라, 짓는 것이 아닐까? 소외된 사람을 위해 많이 베풀면 그 보답도 좋지만 원한을 많이 쌓으면 돌아올 재앙도 깊을 것이다. 적게 베풀고 큰 보답을 바란다거나 원한을 쌓고서 후환이 없길 원하는 것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결코 가능하지 않는 일이다. 그러므로 지혜로운 사람은 지나간 일을 살펴보면서 닥쳐올 일을 예측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