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과기자문위원과 오찬<br/>“새 도약 위해 ‘퍼스트 무버’ 전환<br/> 낡은 규제·제도 혁파해야” 강조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경제 성장을 위해 ‘퍼스트 무버’(First Mover·선도자) 전략으로 전환하고 낡은 규제와 제도를 혁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들과 오찬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오찬 간담회는 제1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들의 활동을 치하하고, 새롭게 구성되는 제2기 자문회의 위원들과 연구개발 혁신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영국 국빈 방문 당시 영국왕립학회에서 열린 한영 최고과학자 과학기술미래포럼에 참석해 양국 최고 석학들과 대화를 나눈 것을 계기로 “국가 R&D 재정은 민간과 시장에서 투자하거나 도전하기 어려운 기초 원천 기술과 도전적인 차세대 기술에 중점적으로 지원돼야 한다”며 “글로벌 공동연구와 인적 교류를 확대해 미래세대의 역량을 키워 나가는 데에도 정말 필요한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우리 나라가 저성장 늪에서 빠져나와 새롭게 도약을 하기 위해서는 퍼스트 무버로 전략을 전환해야 한다”며 “국가 R&D 체계도 이런 방향에 맞춰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투자해 미래 성장과 번영을 앞당겨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R&D 체계를 개혁하고, 규제 혁파를 함으로써 우리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과학기술 연구의 인적 또 물적 허브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적시에 연구가 지원될 수 있도록 예타를 간소화하고, 예산 집행을 유연하게 하고, 연구에 필요한 장비 조달이라든지 이런 지원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달체계 개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세계의 연구자들이 한국 연구자들과 공동 연구를 하고 싶고, 나아가 한국에 와서 연구하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해 우리나라를 글로벌 과학기술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백원필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등 새롭게 위촉되는 위원 6명에 대해 위촉장을 수여했다. 또 우리나라 R&D와 관련해 위원들과 의견을 나누고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지난 1년 동안 12대 국가 전략기술을 선정하고, 2024년도 R&D 예산을 심의하는 등 총 21건의 자문과 심의를 진행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