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가운데 21번째가 대설(大雪)이다. 태양이 황경 255도에 위치하며, 올해는 12월 7일(음력 10월 15일)이 대설이다. 대설(大雪)은 다른 때보다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뜻이다. 하지만 우리 날씨와는 잘 맞지 않다. 그 이유는 중국 역법이 화북지방의 계절적 특징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이다.
대설(大雪)은 한자의 뜻, 그대로 큰 눈을 의미한다.
대설에 눈이 오면 아이들은 물론이고, 어른들도 상서로운 눈이라고 해서 좋아한다. 한겨울이 오기 전인 12월에 내리는 눈이 귀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대설(大雪)에 눈이 많이 내리면 눈이 보리를 덮어 보온재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동해(凍害)를 적게 입어 보리 풍년이 든다고 하여 ‘눈은 보리의 이불’이라는 말이 있다. 대설 때 눈이 많이 오면 푸근한 겨울을 난다는 속설도 전해진다.
이 시기는 물이 얼어붙고, 점점 추워지는 완연한 겨울이다. 겉으로는 음기가 충만해 보이지만, 땅속은 양기를 잉태하고 있다. 만물에 음기가 가득 차면 변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다. 마치 밤이 있어야 낮이 있는 이치다. 눈이 쌓이면 이불 역할을 해주어 땅속의 양기를 보호한다. 사람들도 하던 일을 마무리하고 휴식하며 안으로 양기를 길러 다음해를 준비하는 것이다.
대설부터 본격적인 농한기에 들어가기 때문에 농사일이 없다. 농가에서는 농사일을 마치고 한가한 시기다.
이때 콩을 삶아 메주를 쑨다. 장맛은 메주가 좋아야 하므로 이 시기에 집집마다 한 해 농사를 결정짓는다고 할 만큼 정성을 들인다. 인간의 삶이 계절의 변화와 긴밀한 이유다.
대설은 자월(子月)의 시작에 해당하는 절기다. 자월은 대설과 동지가 포함된 달로, 12월 7일경부터 1월 8일경까지다. 사주명리에서 자(子)는 오행으로 수(水)이며, 동물로는 쥐다.
자(子)는 주역 괘로 보면 지뢰복(地雷復) 괘에 해당한다. 땅을 상징하는 곤괘가 위에 있고,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가 아래에 있다. 땅속에 우레가 잠겨 있다는 것은 땅속에서 생명의 기운이 활발하게 꿈틀거리고 있다는 것이다. 맨 아래에서 양효(陽爻)가 있고, 나머지 5개는 음효(陰爻)로 이뤄졌다. 맨 아래의 초구가 양효(陽爻)이므로 천지가 음(陰)의 기운으로 가득 찬 가운데, 이제 막 양기가 다시 시작하는 효다. 비록 떠나 있으나 멀리 간 것은 아니며, 다시 돌아오니 크게 후회하지 않는다고 해석한다. 그러므로 지뢰복(地雷復)의 복은 회복하다고 할 때의 복(復)자를 썼다.
명리에서 지지 자(子)는 어둠이 깊어져도 생명의 싹을 품고 있다.
지뢰복은 남들에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은밀하게 존재하는 왕성한 생명력과 희망을 나타낸다. 결국 아무리 추워도 결국 새로운 생명이 시작된다는 뜻이다. 마치 몸살을 심하게 앓고 난 뒤 몸조리를 하듯이 삶의 에너지가 땅속에 묻혀 있는 겨울에는 휴식하면서 기운이 흩어지지 않도록 양생하는 시기다.
사주에 자가 있거나 자월에 태어난 사람은 총명하고 감추어진 재능을 가지고 은밀하게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낭비를 싫어하고 실용적인 성격이다. 생명력과 성적 에너지가 넘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어둠 속에서도 싹트는 힘에서 비롯된 성향이다.
전한(前漢)의 회남왕 유안(劉安·기원전 179~122)이 저술한 회남자(淮南子) 권5 ‘시칙(時則)’에 보면 중동(仲冬)의 달, 11월이 되면 초요(招搖·북두칠성 자루 끝에 있는 별)가 자의 방향(서북쪽)을 가리킨다. 얼음은 점점 단단해지고 땅은 얼어 터지기 시작하며, 간단(鳱鴠)이 울지 않고 호랑이가 교미하기 시작한다고 한다. ‘간단’은 산새의 이름이다. 이달에는 음기가 극성하므로 울지 않는다. 호랑이는 양 속의 음이다. 음기가 무성하게 되면 무리끼리 서로 발정하게 된다.
이 시기는 해가 짧아지면서 음양이 다투는 시기이니, 군자는 목욕재계하고 조용한 곳에 머물며 몸을 고요히 하고 음악과 여색을 멀리하여 욕망을 억제한다. 그리하여 신체를 안정시키고 심신을 편안하게 한다.
통치자는 위로 하늘에 순응하고 아래로 토지의 생산력에 힘쓰되, 시절에 맞는 일을 행하므로 백성은 그것에 따름으로써 그날의 길흉을 알고 각기 지니고 있는 용기(龍忌)를 나타낸다고 한다. 다시 말해 천인감응(天人感應)설을 표현한다. 인간의 생활도 자연과 조화로운 가운데 풍요로움과 안락이 있음을 말한다.
복(復)은 다시 돌아온다는 말이다.
나라의 주권은 기득권층에서 백성으로 돌아오는 정책을 펴야 존립할 수 있다.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전쟁도 기득권층의 빗나간 탐욕과 부정부패 때문에 탈출구를 모색하기 위한 명분으로 발생한 것이다. 결국은 백성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는다.
통치자는 사회가 다시 정의롭게 회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것은 국가가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