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과메기가 온다, 검은돌장어가 온다

등록일 2023-11-20 20:04 게재일 2023-11-21 7면
스크랩버튼
이병철 시인 ‘참관기’

어릴 땐 그 맛을 모르다 머리가 좀 굵어 입에 착착 감기는 음식들이 있다. 스무 살 때 구파발 서울식당에서 은사님이 가득 따라주시는 탁주를 받아 마시며 처음 먹어본 과메기는 난해하고 친해지기 힘든 음식이었다. 비리고 몰캉거리는 걸 도대체 왜 먹나 했다. 지금은 없어서 못 먹는다. 비슷한 무렵 여수에 가 통장어탕을 반도 못 먹고 남겼는데, 이젠 구이가 물리고 오히려 탕이 당긴다. 내가 아저씨 나이가 되니 과메기, 장어를 안 먹는 20대들을 이해할 수 없다.

‘2023 포항을 맛보다! 포항 구룡포 과메기&영일만 검은돌장어 미디어 홍보 행사’에 다녀왔다. 박찬일 세프가 진행을 맡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타인을 설득하는 말하기는 파토스(감정), 로고스(논리), 그리고 에토스(화자)를 갖춰야 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게 에토스다. 화자가 박찬일이라면, 요리사가 ‘로칸다몽로’의 바로 그 박찬일이라면 나는 어떤 말이든 믿고, 어떤 음식이든 삼킬 수 있다. 방송과 책으로만 봤지만, 아득한 거리에서도 깊은 관찰을 가능케 하는 그의 세계에서 음식은 예술이고, 음식에 관한 이야기는 전부 문학이었으므로.

박찬일 세프는 과메기파김치와 돌장어 스튜를 선보였다. 먼저 과메기파김치에 대해 “영남지역 사람들은 꽁치나 전갱이젓이 들어간 양념으로 파김치를 담그곤 했다”며 “이 관습에 착안해 과메기를 파김치에 넣었더니 맛과 향, 식감까지 뛰어난 과메기 파김치가 됐다”고 말했다. 맛을 보니 갈치, 자리돔, 전갱이, 볼락 등이 들어간 김치처럼 시원하면서도 확실히 그들이 갖지 못한 향과 풍미가 있었다. 언젠가 엔초비파스타를 흉내 내 과메기파스타를 만들어 먹었을 때, 엔초비보다 훨씬 더 깊고 풍부한 맛과 향에 놀랐던 적이 있다.

또 돌장어 스튜에 대해 박 세프는 “영일만 검은돌장어는 바다장어, 즉 붕장어의 일종인데 다른 지역 장어와 달리 체색이 검은빛을 띠고, 육질이 매우 쫄깃하다”며 “돌장어는 대개 굽거나 탕으로 먹는데 이번 장어스튜는 내게 영감을 주었던 포항 장어탕 스타일에 이태리 조리법을 더해 토마토소스를 넣고 뭉근하게 조려 완성했다”고 했다. 한술 떠 먹어 봤다. 우리 입에 익숙한 추어탕과 통장어탕의 고소하면서도 얼큰한 맛, 재료들이 한 데 엉겨 밀도가 단단하게 깊은 맛이 입 안 가득 퍼지더니 나중엔 지중해식 생선스튜인 부야베스가 연상되는 이국적 풍미가 산뜻했다.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구룡포 과메기와 영일만 검은돌장어의 화려한 쇼케이스는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 향토성과 도시성, 특수성과 보편성, 실용과 낭만, 맛과 멋이 어우러진 장이었다. 과메기와 장어가 오다니, 서울에도 과메기 먹을 곳은 많고 산지직송 택배도 되지만, 이 행사는 뭐랄까, 호미곶부터 석병 삼정 하정 병포 장길리까지 구룡 바다 전체가 걸어온 것이다. 정현종의 시 ‘방문객’을 패러디하자면 과메기가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꽁치 청어로 동해를 헤엄치던 과거와 새끼줄 엮인 채 해풍에 말라 꾸덕꾸덕해진 현재와 새로운 먹거리로 탈바꿈할 미래와 함께 왔기 때문이다. 영일만 검은돌장어는 그 이름과 풍문마저 생소했는데 이젠 자주 만날 수 있을 것 같다.

“이번 행사를 통해 포항 수산물의 우수성이 전국적으로 알려지고, 수산물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이 해소됐으면 한다”는 이강덕 포항시장의 바람대로 믿고 먹을 수 있는 구룡포 과메기와 영일만 검은돌장어가 우리 식탁에 다채로운 모습으로 오르길 기대해 본다. 과메기파김치와 과메기김밥, 돌장어 스튜는 진짜 맛있었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