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혼란스러운 마음을 리셋한다

등록일 2023-11-20 18:50 게재일 2023-11-21 18면
스크랩버튼
김규인 수필가
김규인 수필가

인공지능은 일상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인공지능이 알려주는 일기예보를 듣고 경제전망을 보고 물가를 예측한다. 초기의 인공지능과 대결해 1승을 거둔 이세돌의 승전보는 벌써 옛이야기이다. 인공지능을 모티프로 한 영화 ‘나의 마더’는 이미 2019년에 상영됐다.

인공지능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에서 큰 역할을 한다. 미국 팔란티어의 인공지능 고담은 위성과 열감지기, 정찰용 드론, 각종 첩보와 적군이 사용하는 휴대전화 감청 정보, 각종 인터넷 정보를 종합하여 작전 정보를 제공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데 기여한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항복 방송, 불에 타는 미국국방부 건물인 펜타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체포 영상은 모두 인공지능을 이용해 조작했다. 인공지능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해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일도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국민의 삶이 달린 경제 문제, 일기예보, 기후변화를 논하는 자리에 조작된 정보가 입력된다면 일 초에 백경 번을 연산한다는 인공지능을 둔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조작된 자료는 허구에 지나지 않는다. 손해는 그 자료를 믿고 따른 국민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

신입사원을 뽑는 면접에서 사람들에 의한 불평등한 점을 해소하고자 채택한 인공지능 면접도 사람이 뽑은 것과 다르지 않았다. 이것은 먼저 신입사원을 뽑은 면접관들이 공정하게 평가한 것이 아니라, 그 면접관들이 뽑은 자료를 토대로 인공지능에 입력하여 선발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어떤 편견도 없는 공정한 자료를 입력하는가가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다.

매일 쏟아지는 자신들의 주장만을 내세우는 노조의 데모와 정권만을 잡으려는 정치인들의 주장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어쩌면 세 살 먹은 아이도 아는 일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는 다른 말을 한다. 조금만 더 사회를 둘러보고 남을 배려하는 말을 할 수는 없는지. 그 틈바구니에 끼인 국민을 생각할 여유는 없는 것인지.

무섭게 오르는 물가와 집을 매개로 사기를 펼치는 사람들이 득실거리고 전화 사기마저 극성을 부린다. 이런 와중에도 국가는 국가대로 바쁘다. 인공지능이 나라의 미래를 바꿀 게임 체인저라며 이러한 변화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경쟁을 서두른다. 급변하는 세상에서 국민이나 국가나 살아남는 게 중요하다.

추운 날씨 탓인지 며칠 전에는 금방 태어난 아기 마음 같은 하얀 눈이 내렸다. 눈처럼 하얀 정보만을 입력할 수는 없는 것인지. 그러기 위해서 우리 사회는 얼마나 더 순수해져야 할까. 무너진 아파트 지하 기둥에 콘크리트가 들어갈 자리에 박힌 벽돌처럼 정직하지 못한 일은 지위의 높고 낮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사회에 너무나 많이 퍼져 있다.

그런데도 우리 사회가 돌아가는 것은 죽지 않은 양심 때문인지도 모른다. 치매에 걸린 노인에게 따스한 손길을 건넨 김선 씨의 선행을 보며 이제까지의 혼란스러운 마음을 리셋한다. 우리 사회에 아직 정확한 자료가 살아있음을 확인하는 것은 기쁜 일이다. 이런 날은 인공지능이 그리는 밝은 내일을 상상하기도 한다.

길 위의 마음 읽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