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야기, 내가 알고 있는 것들을 글로 쓰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어요.”
지난 18일, 포스텍 캠퍼스에서 열린 ‘제2회 포스텍 SF DAY’에서 김초엽 작가, 김겨울 작가의 ‘SF 북토크’를 찾은 포항 시민들과 포스텍 학생들이 작가들에게 던진 질문이다. 한겨울을 방불케 하는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130명이 넘는 청중이 강연장에 모였고, 두 시간이 넘는 강연과 대담 시간 동안 놀라운 집중력으로 두 작가의 이야기를 한마디도 놓치지 않았다.
김초엽 작가는 “‘쓰고 싶은 나’를 발견하는 읽기의 여정”이라는 주제로 화학을 전공하는 과학도였던 자신이 어떤 과정을 거쳐 6년 차 SF 작가가 되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이정표가 되어 준 책들은 어떤 것이었는지를 상세히 소개해 주었다. 또한 김겨울 작가는 듣는 이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는 특유의 차분한 말투로 청중을 대신해 김초엽 작가에게 질문을 던지고 더 많은 이야기를 끌어냈다.
김초엽 작가의 강연과 두 작가의 대담도 물론 훌륭했지만,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청중들의 질문이었다. 20분 남짓 예정된 질의응답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았고, 두 작가는 진심 어린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현장에서 이 장면을 전부 지켜본 나로서는, 글쓰기에 대한 열망을 간직한 사람들이 아직 이렇게나 많다는 사실에 새삼 벅차오르지 않을 수 없었다.
소설, 시, 드라마,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의 글쓰기가 있지만, 엄정한 형식과 객관성을 요구하는 학술논문과 같은 몇몇 분야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글쓰기는 자기표현, 즉 ‘나’의 이야기이다. 하지만 나의 이야기를 나만 알 수 있는 방식으로 쓰는 것이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본질은 아니다. 글로 쓰는 순간 모든 글쓰기는 잠재적인 독자를 갖게 된다. 나의 이야기가 다른 ‘나’들, 즉 독자들에게 전달되어야만 좋은 글쓰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글쓰기는 나의 세계를 확장하는 작업이며, 다른 배경을 지닌 타인과 소통하는 법을 익히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런 맥락에서 글쓰기에도 배움이 필요하다. 나와 타인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지평, 즉 글쓰기의 문법을 익혀야 한다. 지루한 국어 시간이나 논술 수업 같은 것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내가 쓰고자 하는 장르, 예컨대 소설이면 소설, 에세이면 에세이의 장르적 특성과 창작 방법을 익힘으로써 해당 장르의 문법에 익숙한 독자들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공부를 말한다. 행사장에서 김겨울 작가가 한 질문자에게 조언했듯, 가장 좋은 방법은 독서를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와 작품들을 발견하고 거기서 출발해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김초엽, 김겨울 작가의 북토크와 같은 문화행사 또한 누군가에겐 독서와 글쓰기에 흥미를 갖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포항을 비롯한 모든 지역에서 이러한 문화행사가 더 자주 열리기를, 글쓰기를 통해 확장된 세계를 감각하는 기쁨을 더 많은 사람들이 누리게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