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고통에 공감한다는 착각을 넘어

등록일 2023-12-04 18:10 게재일 2023-12-05 18면
스크랩버튼
홍덕구포스텍 소통과공론연구소 연구원
홍덕구포스텍 소통과공론연구소 연구원

코다(CODA·Children of Deaf Adults)는 농인(聾人·청각장애인)의 자녀를 일컫는 말이다. 수어를 사용하는 농인 부모에게서 자란 코다는 자연스럽게 수어와 청어(음성 언어)를 함께 익히게 된다. 이때 청어가 제1언어가 되고 수어는 외국어처럼 제2언어가 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재일조선인의 모어가 조선어이듯, 농문화에 안겨 자라난 코다의 제1언어이자 모어는 수어다.

포스텍 소통과 공론 연구소는 지난 12월 1일, 농인 부모님의 이야기와 자신의 코다 정체성을 다큐멘터리 영화 ‘반짝이는 박수소리’(2015)에 담아낸 이길보라 감독을 초청해 ‘고통에 공감한다는 착각’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청해 들었다. 이길보라 감독은 국가와 사회가 장애와 장애인을 정상성의 기준으로 구별 짓고 차별하고 격리해 온 역사,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인식적 전환과 실천의 방법들을 들려주었다.

이길보라 감독은 청문화(음성 문화)와는 또 다른 ‘농문화’라는 고유의 문화를 지닌 존재로서의 농인, 그리고 농문화와 청문화 양쪽을 오가며 잇는 존재로서의 코다를 부각시켰다. 수어는 소리와 청각에 기반한 청어와는 달리 시각에 기반한 새로운 언어이므로, 두 언어를 모두 사용하는 코다는 세계를 두 배로 넓고 다채롭게 경험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인상적이었던 것은 농인이 ‘결핍된 존재’로서의 청각장애인이 아니라 그 자체로 완전하고 행복한 존재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장애에 대한 나의 편협한 인식이 완전히 뒤바뀌는 경험이었다.

솔직히 말해 아직도 완전히 이해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여전히 내게는 장애를 비정상으로 구별 짓지 않는 것과 장애에 대한 사회적 차별을 철폐해 나가기 위한 싸움이 목적은 같을지언정 방법론적으로 일치될 수 없는 한 쌍의 대척점처럼 생각되기도 한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 사회에는 장애에 대한 차별들이 분명히 존재하며, 차별이 존재하는 곳에는 변화와 투쟁이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장애인을 가엾게 여기는 마음, 즉 ‘고통에 공감한다는 착각’만으로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오히려 그 착각 때문에 공감을 선행으로 되돌려주는 ‘착한 장애인’을 폭력적으로 요구하게 되거나, 그토록 공감 능력이 넘치는 자기 자신에 대한 도취에 그칠 수도 있다. 필요한 것은 ‘공감’이 아니라 장애인 또한 그저 장애를 가진 인간일 뿐임을 인식하고, 인간이 누려야 마땅한 기본적인 권리가 보장되고 있는지를 세심하게 살피는 일이다.

예컨대, 우리가 인간의 기본권이라고 생각하는 자유롭게 이동할 권리(이동권)와 원하는 곳에서 살 권리(거주·이동의 권리)는 장애인을 대할 때 너무 쉽게 무시된다. 휠체어가 출입할 수 없는 공간들은 장애인의 권리를 넘어 인간의 이동권을 제약한다. 격리 시설에 수용된 장애인들은 거주·이동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당하고 있는 셈이다. 고통에 공감한다는 착각과 시혜적 관점을 넘어, 장애와 장애인 인권을 보편적 인권의 차원에서 사고하고 보장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홍덕구의 어림생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