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 가입한 지 10년이 넘었다. 열심 사용자도 아니고 친구도 많지 않지만, 읽을거리도 많고 접속 속도도 빨라서 버스나 지하철에서, 심지어 신호등을 기다리면서도 하루에도 몇 번씩 들어가 보게 된다. 카카오톡은 페이스북보다 더 실시간으로 상대와 연결된다. 지구 반대편에 사는 큰애에게 고양이 사진을 보내고, 친구와 수다 떨거나 업무를 보는 데 카톡은 필수다. 요즘엔 인스타그램까지 들어가고 있다.
이제 현대인은 디지털이 없으면 생존이 불가능한 정도에 이르렀다. 코로나19로 은둔 생활을 해야 했던 지난 3년 간 인터넷 사용자는 더욱 급격하게 늘었다. 글로벌 인포메이션 자료에 의하면, 2022년 현재 전 세계 스마트폰 사용자는 55억 명이 넘어서 보급률이 70%에 이른다고 한다. 시간과 공간이라는 물리적 제한을 극복한 인터넷 세상은 인류에게 새로운 대안을 주었다.
그러나 이런 디지털 세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와 해저케이블 등 많은 물리적 실체가 필요하다. 페이스북이 북극 가까이에 있는 스위스 룰레오 호수 근처에 거대한 데이터센터를 세운 덕에 수십 억 명의 페이스북 가입자는 수백 장의 사진을 올릴 수 있고, ‘좋아요’를 주고받는다. 인터넷 사용자들은 구글 클라우드에 온갖 데이터를 올린다. 문제는 이런 데이터를 전송하고 보관하기 위해서는 엄청나게 큰 데이터센터를 만들어야 하고, 해저케이블을 가설해야 한다는 것이다.
프랑스 언론인 기욤 피트롱은 이런 디지털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2년 간 조사하고 나서, ‘좋아요는 어떻게 지구를 파괴하는가’라는 책(원제 ‘디지털 지옥’)을 썼다. 이 책에서 저자는 ‘좋아요’ 하나에도 전기 에너지가 필요하고, 셀카 한 장에도 석탄이 필요하다면서, 데이터센터를 짓기 위해 얼마나 많은 땅이 개발되는지 밝혔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디지털 장비는 340억 개, 그 무게는 2억2천400만t이라면서, 이 장비들이 세계 전기 소비량의 10%를 차지하고 지구 온실 가스 배출량의 약 4%를 발생시킨다고 한다.
그러나 디지털 산업이 엄청난 물과 에너지를 소비하고 광물 자원을 고갈시킨다고 아무리 외쳐도 디지털 없는 세상은 상상할 수 없다. 특히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초고속인터넷망 보급률이 99.96%로 디지털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건강을 위해 작년에는 몸무게 다이어트에 성공해서 체력이 좋아졌고, 올봄에는 살림 다이어트로 집안을 비웠다. 이제는 디지털 다이어트에 도전해보자. 정신을 빼놓는 앱 몇 개는 바로 삭제했다. 일요일 정도는 스마트폰을 끄거나 간헐적 단식처럼 일정 시간 꺼놓는 식으로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을 줄여도 좋겠다. SNS에 글을 쓰거나 사진을 올릴 때는 그것을 위해 소비될 에너지를 상쇄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한 번 더 생각해보자. 휴대폰의 사진도 수시로 정리하고 클라우드 청소도 해보자. 이참에 사회의 디지털 다이어트 방법도 고민해보자. 환경도 보호하고 멀리 나간 정신도 돌아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