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구원의 도착지점

등록일 2023-09-11 18:06 게재일 2023-09-12 17면
스크랩버튼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더 웨일’
‘더 웨일’ 포스터.

모세가 야훼로부터 받은 ‘십계명(十誡命)’은 행해야 할 두 개의 명령과 하지 말아야할 여덟 개의 금기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으로써 신의 세계로 향하는 엄혹한 규칙이며, 행동과 함께 마음까지 살펴야하는 규범이다. 불교에서는 승려와 신자들이 마땅히 지켜야할 가장 기본적인 계율로 오계(五戒)가 있다. 모두 ‘아니 불(不)’로 시작하는 부정어로 시작한다. 해야할 것보다 하지말아야할 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인간은 쉽게 계명과 계율에서 이탈한다. 그리고 반성하고 회개하며 계명과 계율의 궤도로 귀환한다. 인간은 해야할 것과 하지말아야할 것들 사이를 오가며, 스스로를 괴롭히고 희열을 느끼고, 경건하거나 기쁨을 느끼거나, 맑거나 어지러운 복잡다단한 삶을 살아간다. 계율과 계명이 아니어도 인간이 인간을 위해 만든 사회적 ‘규범’이 존재한다. 이 규범 또한 해야할 것과 하지말아야할 것을 정하고 칭찬과 형벌이 주어진다. 계율과 계명이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 기인한 것이라면 규범은 순수하게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 기인한 것이다. 차이는 있지만 계율과 규범은 항상 ‘후회’가 깔려 있다. 후회가 쌓이고 깊어지면 ‘죄책감’으로 이어진다. 후회의 강도가 강해질 때 죄책감이 남는다.

종교에서 죄책감은 반성과 회개, 기도를 통한 ‘죄사함’으로 해소된다. 규범의 죄책감은 결과의 강도에 따른 ‘형벌’에 의해 해소된다. 죄사함은 구원을, 형벌은 교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신의 존재 여부와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와 신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고찰들이 인간의 역사와 함께 했었다.

‘후회’는 인간이 하루에도 수십 번 마주하는 선택의 결과다. 사소한 선택에서부터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선택의 결과가 좋지 않은 방향으로 나타날 때 ‘후회’가 뒤따른다.‘후회’를 돌이켜 원상태로 되돌릴 것인가, 후회를 낳은 선택을 다른 선택으로 마음의 위안을 얻을 것인가. 끊임없이 반복되고 충돌한다. 사람의 관계 속에서 상반된 신념을 가진 이들과 충돌하고 화해하며 서로를 끌어 안는다.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더 웨일’은 과거에 내린 선택의 결과로 빚어진 지금, 후회를 두고 벌어지는 상반된 믿음을 가진 이들이 낡은 아파트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서 등장하고 퇴장하면서 충돌하는 모습을 그린다. 제목처럼 고래만큼 비대한 초고도 비만자 찰리는 보행 보조기가 없으면 혼자 몸을 일으킬 수도 없고, 한발도 나아가지 못한다.

그가 머무는 한정된 공간 속으로 종교적 구원의 깃발을 든 이와 찰리를 돌보는 유일한 친구이자 간호사 리즈, 찰리의 딸, 그의 전처가 순차적이거나 반복적으로 아파트를 출입한다.

영화에 등장하는 모든 이들은 ‘후회’라는 공통적 감정을 숨기고 타인을 통해 그의 후회가 해소되길 희망한다. 그리고 그것은 주인공 찰리에게 집중된다. 선택은 뜻하지 않은 결과를 낳게 되고 후회로 남는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죄책감으로 이어지고 누군가에게는 미안함으로, 누군가에게는 그리움과 증오로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은 감정이 그렇다고 명쾌하게 나눠지지도 않는다.

죽음을 직감한 찰리는 이제 자신의 선택에 대해, 후회와 죄책감의 시간을 벗어나 적극적인 화해를 청하고자 한다. 화해에 대한 의지는 그의 동작만큼 굼뜨지만 그의 몸무게 만큼 무겁고 강력하다.“알아야겠어! 내 인생에서 잘한 일이 하나라도 있다는 걸!”이라는 찰리의 대사처럼 그 하나를 위해 생명의 마지막 불꽃을 태운다.

선택이 후회로 남으면서 고통이 동반되는 삶을 살아가는 인간은 결국 신에 의해서가 아닌 인간에 의해서 구원받는다. 관객은 주인공과 함께 그의 집안에 갇혀 가쁜 숨을 내쉬며 묵직하게 쌓아가는 화해의 과정을 지켜본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 비로소 다시 바다로 돌아가는 거대한 한 마리의 고래를 목격하게 된다. 화해했는가, 구원받았는가, 진정성이 얼마나 상투적인가라는 생각이 뒤엉킬 때, 벅차 오름과 함께 눈물이 흘러 내린다.

/(주)Engine42 대표 김규형

김규형의 영화 읽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