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국회서 ‘슈퍼화공포럼’ <br/>지방시대 선도 다양한 주제 논의
다가오는 지방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경북도와 학계, 기관 등 관련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경북도는 5일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의실에서 ‘슈퍼화공포럼’을 열고 ‘지방시대 경북의 대한민국 선도전략’을 주제로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슈퍼화공포럼’은 경북도가 지난 2018년 11월부터 도청에서 매주 화요일마다 진행하는 ‘화요일 공부하는 모임(화공)’을 국회에서 개최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의 자문 및 각종 사업에 대한 국회의 지원을 얻고자 준비한 프로그램이다.
행사를 주최한 박상현 경북도 서울본부장은 “경북도가 성공적인 지방시대를 열기 위해 새 비전과 방안을 찾아가는 토론의 장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과거 화공에서 발표했던 특강 강사들이 참여했다. 한국장학재단의 배병일 이사장이 발제자로, 패널로는 함일환 (주)H에너지 대표, 한희원 경북 독립기념관 관장, 마강래 중앙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또 김택환 경기대 교수가 포럼 좌장을 맡았다. 138회 화공에서 ‘대전환 시대 경북의 신(新)부흥모델’을 주제로 발표한 김 교수는 “지방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독일(남부 보수도시 뉘른베르크에 이민청)처럼 경북 안동에 이민청을 설립하자”라고 제안했다.
174회 화공에서 ‘지방행정과 입법’을 주제로 발표한 배병일 한국장학재단 이사장도 “도청에 이민국을 신설하고, 외국인 유학생 30만 명을 유치하자”고 강조했다.
지방소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모아야 하며 ‘저출산대책’으로 소멸을 막기에 지방정부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배 이사장은 이밖에 신공항 도로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지난 6월 정부가 발표한 ‘양자과학기술전략’을 들며 포스텍이 주도하는 양자컴퓨터 개발과 유치를 제안하기도 했다.
57회 화공에서 ‘귀향정책을 통한 지방위기 극복방안’을 발표한 마강래 교수는 ‘도시권 육성을 통한 산업생태계 구축 전략’과 더불어 ‘베이비 부머의 귀향귀촌을 통한 농촌 활력 증진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최근에는 1차와 2차 베이비부머의 귀향귀촌 흐름이 강해지고 있어 이들이 농어촌 지자체로 이주해 취업·정착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등 일자리를 마련할 수 있는 ‘3차 결합 사업화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113회 화공에서 ‘에너지산업혁명, 그 도전과 기회’를 주제로 발표한 함일환 H에너지 대표는 “40MW 이하 재생에너지, 연료전지, SMR 등 분산에너지를 지역에 직접 판매할 수 있는 분산에너지법이 내년 6월부터 시행된다”면서 “지역 자본이 분산에너지를 개발하고 수익이 지역으로 흐를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158회 화공에서 ‘초일류 경상북도, 자기 주인으로 산다는 것’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한희원 경북독립기념관장은 지방자치에 대한 인문학적 관점을 내놨다. 그는 “경북도는 호국의 성지라는 전통을 잊지 않고 계승하는 것이 지방자치의 정체성”이라며 “실질적인 지방자치를 위해 자치권, 재정권, 조직권이 법적으로 보장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