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일상은 무척 따분하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삶이 무미건조하다”고 투털대는 지인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평범했던 주변의 세계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순간, 우리는 또다른 경이로운 세계를 만날 수도 있다.
우리 몸 안에 또 주변 곳곳에는 범우주적 세계들이 산재해 있다. 무심코 지나치고 있을뿐 모두 엄청난 세계이기 때문에 어지럼증이 생긴다.
과학자들은 “인체에 세포 37조개와 미생물 39조개가 있다”고 말한다. 세포 한 개 크기는 천문학적인 10-100μm다. 1μm는 100만분의 1m.
너무나도 미세한, 이 각각의 세포들은 그러나 살아 있는 동물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소기관을 가지고 호흡과 운동, 성장 그리고 자기복제 즉 번식을 한다.
인체 세포 37조개 중의 한 개에 불과한 이 세포 안에, 또다른 우주가 숨어 있는 것. 여기까지라면 현기증은 나지 않는다.
하지만 39조개 각각의 세포 핵에, 상상도 하기 힘든 천문학적 분량의 유전 정보가 복사돼 있음을 감안하면 상황은 달라진다.
세포핵 이중나선구조 염색체 46개에는 사람의 성을 결정하고 골격을 만든 후 장기와 혈액을 운용하는 모든 방법이 프로그램화돼 있다. 또 뇌와 신경조직, 기질과 성격 등에 대한 유전 정보도 들어 있다.
현대 과학자들은 “지구에서 35억년 전에 처음 출현한 세포는, 생존을 위해 다양한 세포 결합 등 진화를 거친 끝에 현재의 유기체인 인체를 구성하고 있다.”고 말한다.
세계적인 석학 리처드 도킨슨은 “모든 동물은, 세포 유전자가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만들어낸 생존기계”라고 밝혀 세상을 놀라게도 했다.
사람 역시 우리 몸 안 세포 유전자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만들어진, ‘세포 유전자에 의해 프로그램 된 일종의 로봇’이라는 것.
“사람의 생존과 번식 본능은 세포 유전자에 의해 조종 되며, 뇌에 의한 의식 역시 유전자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번에는 사람 혈액 적혈구에 있는, 그 숫자가 무려 60해개에 달하는 헤모글로빈의 세계로 가 보자.
역시 인간의 사고로는 접근이 쉽지 않은 범우주적 나노의 영역이다.
단백질 분자인 헤모글로빈 한 개는, 아미노산 574개로 구성돼 있고 다시 아미노산 한 개는 원자 수십개로 이뤄져 있다.
인체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의 수명은 120일. 매초마다 40조개가 생성되고 파괴된다.
헤모글로빈도 인체 안에 있지만, 각자 살아 움직이는 독립 생명체 같은 존재로 볼 수도 있다.
숙주(?)인 우리의 의식과는 무관한, 거대한 미지의 세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
번식을 위한 남성 정자의 세계도 비슷하다.
정자 길이는 40-50μm. 정자는 여성 자궁안에서 나선형으로 헤엄쳐 난자에 도달한, 단 한마리만 수정을 한다.
한번 사정 때 쏟아지는 정자 수는 무려 2억-5억마리.
더 놀라운 사실은, 정자 한 마리 한 마리의 세포핵에는 천문학적인 분량의 아버지 유전 정보가 모두 들어 있다는 것.
여기에다 난자와 수정을 시도하는 정상 정자는 10%에 불과하다.
나머지 기형 정자 90%는, 여성 자궁 내로 진입해 난자와의 수정을 시도하는 ‘다른 숫놈의 정자’의 경로를 방해하거나 죽이고는 산화한다.
이쯤되면 리처드 도킨스 박사의 ‘인체가 우리 몸 이전에, 세포 유전자가 조종하는 살아 있는 로봇’이라는 주장에 일순 수긍이 가기도 한다.
눈을 외부로 돌려보자. 그곳에도 무지막지한 규모의 우주가 있다.
과거에는 단 한 개의 우주로 봤지만 최근 과학이 발달하면서 우주의 개념도 확장되고 있다.
많은 천문학자들은 “은하계에 별 3천억개가 있고, 우주에는 은하계 같은 은하가 3천억개가 있다. 다시 이 세상에는 우주가 1개가 아니라, 3천억개가 있다”고 말한다.
마이크로한 축소의 세계, 광대한 우주에다 억겁의 세월 앞에 사람은 먼지보다 작은 존재다. 또 인생은 찰나와 같다.
빡빡한 현실 속에서 범우주적 세계들을 생각하면, 역설적인‘마음의 여유’가 생기지 않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