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추진에 논란 이어져
국방부가 육군사관학교 내 홍범도 장군 등 독립군과 광복군 5인의 흉상 이전을 추진하는 것을 두고 여야 간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육사는 국군의 뿌리인 독립군 정신을 계승하는 것이 그 정체성”이라며 “철거는 반역사적·반민족적 폭거”라고 반발했고, 국민의힘은 흉상을 철거하는 것이 아니라 옮기는 것으로 민주당의 선동이라고 맞섰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정권 때 국정 교과서 논란이 생각난다”며 “어쩌면 이렇게 똑같나”라고 꼬집었다. 이어 “건국절 논란, 친일 논란, 국정 교과서 논란, 이제는 독립군 흉상 제거”라며 “윤석열 정부 걱정된다. 국민과 역사를 두려워하라는 말을 다시 한번 상기하기 바란다”고 전했다.
박광온 원내대표도 “국군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참담한 일이 벌어졌다”면서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독립운동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지우는 반역사적·반민족적 폭거”라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의힘이 나서서 홍범도 장군을 비롯한 독립운동가 흉상 이전 계획을 취소시키기 바란다”며 “이 어처구니없는 일을 벌인 국방부 장관에게는 반드시 합당한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김병주 의원은 “(흉상을) 설치할 때 육사 교수부 사학과, 전 사학과 등 교수들이 검증을 했었고 국방부와 당시 보훈처의 허락을 맡아서 설치했다”며 “철거하려면 그와 같은 메커니즘이 작동돼야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 금요일(25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질의를 했는데 그때 (이 장관 측에게) 예상 질의도 안 준 상태였다. 그런데 이종섭 장관이 여기에 대해서 너무 잘 알고 있었다”며 “육사에서 여러 번 보고를 하고 지침을 받지 않고는 갑자기 질문했는데 이 정도 알 수가 없다. 그래서 국방부, 보훈부 모두 공감대가 형성돼 가고 있구나 하는 걸 느꼈다”고 전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러한 논란에 “(흉상) 철거가 아니라 이전”이라며 선을 그었다. 이날 유상범 수석대변인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육사에 설치됐던 것을 독립기념관으로 이전하는 문제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홍범도 장군은 봉오동 전투를 대승으로 이끈 독립전쟁 영웅인 한편, 자유시 사변에 있어 여러 논란도 있는 분”이라며 “국방부에서 육사와 함께 국민적 여론을 감안해 합리적이고 올바른 결정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장예찬 청년최고위원도 YTN 라디오에서 “흉상들을 철거해서 치우겠다기보다 의미와 잘 맞는 공간인 독립기념관 등으로 옮겨서 기리겠다는 게 국방부와 육사의 판단인 것 같다”고 봤다. 다만 “최종적으로 어떻게 결정될지 잘 모르겠다. 중요한 것은 국민 여론”이라고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