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고구려 정복 후 드러낸 한반도 지배야욕… 동맹국서 적으로

홍성식기자
등록일 2023-08-22 18:30 게재일 2023-08-23 16면
스크랩버튼
신라의 삼국통일 - 무열왕과 김유신의 시대<br/>⑩ 신라, 당대 초강대국 당나라를 몰아내다
676년 당나라를 축출하고 온전한 삼한일통을 이룬 문무왕의 수중릉. /사진 이용선기자

무열왕 김춘추, 흥무왕 김유신, 문무왕 김법민. 인척(姻戚) 관계로 맺어진 이 세 사람은 ‘삼한일통(삼국통일)의 트로이카’라 불러도 무방하다.

무열왕과 김유신은 660년 의자왕과 계백을 제압하며 백제를 병합했고, 무열왕 사후(死後)인 668년엔 무열왕의 아들인 문무왕이 외숙부 김유신의 도움을 받아 연개소문 자식들의 갈등으로 혼란스러웠던 고구려까지 절멸시킨다.

하지만, 온전한 삼국통일을 위해선 한 가지의 문제를 더 해결해야 했다. 바로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동맹세력으로 활동했던 당나라를 내몰아야 한다는 것. 외부세력의 축출 없는 삼한일통은 반쪽짜리에 불과했을 터이니.

하지만, 쉬운 일은 아니었다. 당나라는 막강한 군사력을 가진 7세기 지구 위 초강대국. 고구려 멸망 이후 ‘승전동맹국’이라 할 신라와 당나라는 전후(戰後) 처리를 놓고 갈등을 지속했다.

당시의 정치 지형과 역사적 상황을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경효의 논문 ‘7세기 후반 나당(羅唐·신라와 당나라)관계와 김유신’은 이렇게 요약하고 있다.

 

 

승전 후 영토 점유 협정서 불협화음

당이 신라까지 식민지화 하려 들자

집권층 또 한 번의 결사항전 선택

8년 후에야 완성된 형태 통일 이뤄

국력 차이 극복한 위대한 승리 평가

 

“7세기는 한국사에서 변동의 시기였다. 특정 국가 내에서 일어난 정치적 변화가 대외관계에 영향을 끼치는가 하면 대외관계가 국내 정치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특히 당의 등장은 이러한 경향을 더욱 심화시켰다. 또한 전쟁의 양상은 국지전에서 전면전으로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총력전의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따라서 7세기는 여러 국가가 생존을 위한 투쟁을 벌인 시기였다. 신라는 당과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켰다…(후략)”

 

한때는 세상에 둘도 없는 친구처럼 손을 잡고 어떤 일을 도모했으나, 이후에 서로가 가진 입장 차이와 일 처리 과정의 불협화음 탓에 파국을 맞는 경우는 개인은 물론 국가 사이에서도 흔했다.

 

◆ 세계 제2차대전 종전 후처럼 신라와 당나라도 갈등 겪어

신라, 백제, 고구려, 당나라가 때로는 갈등하고, 어떤 부분에선 협력하며 경쟁하던 7세기만이 아니었다.

전쟁이 끝난 후 각자가 많은 몫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 이전투구(泥田鬪狗)의 다툼을 벌이는 현상은 세월을 훌쩍 뛰어넘어 20세기까지 끊임없이 지속됐다.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시작돼 1945년에 끝이 난 세계 제2차대전은 수천만 명의 사람이 죽거나 다친 인류사의 가장 큰 비극 중 하나다.

이 전쟁이 미국과 소련을 주축으로 한 연합국의 승리로 끝난 이후 ‘제 몫 챙기기’로 인한 불화가 7세기 신라와 당나라의 갈등처럼 수면 위로 그 모습을 드러냈다.

세계 제2차대전 종전 후의 역사를 기록한 각종 문헌이 정리된 ‘위키백과’는 “연합국은 점령한 오스트리아와 독일 영토에 점령 지역 행정부를 세웠고 처음에는 각각 서방 연합국이 서쪽을, 소련이 동쪽을 통제하는 지역으로 나누어 통제했다. 하지만 두 연합국은 서로 갈라졌다…”는 서술로 유럽에서의 승전국 간 갈등을 보여준다.

반목과 갈등은 ‘원자폭탄 투하’라는 극단의 방법으로 군국주의 일본을 항복시킨 아시아 지역이라고 크게 다를 바 없었다. ‘위키백과’의 설명은 아래와 같이 이어진다.

 

“미국이 일본 본토와 일본이 통치했던 구 서태평양 도서 지역을 점령했고, 소련은 남사할린과 쿠릴 열도를 점령했다. 일제강점기 치하에 있던 한국은 1945년부터 1948년까지 북쪽은 소련이, 남쪽은 미국이 분할 점령하면서 분단됐다. 1945년에는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북에 각각 자신이 한반도 전체의 합법적인 정부라고 주장하는 별도의 공화국이 수립됐고,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이어졌다…(중략) 전후 세계도 미국이 주도하는 나토(NATO)와 소련이 주도하는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두 편으로 갈라졌다. 두 세력 사이의 오랜 정치적 긴장과 군사 경쟁인 냉전이 시작됐고, 냉전 기간 동안 전례 없는 군비 경쟁과 전 세계의 수많은 대리전이 이어졌다.”

 

삼국통일의 주역이라 할 수 있는 무열왕과 김유신의 활약상을 그림으로 표현했다. /삽화 이건욱
삼국통일의 주역이라 할 수 있는 무열왕과 김유신의 활약상을 그림으로 표현했다. /삽화 이건욱

◆ 신라와 당나라, 얻어낸 땅을 누가 차지하느냐로 다투다

위에 언급된 세계 제2차대전 종결 후 일어난 갖가지 사건처럼, 668년 나당연합군의 고구려 병합 이후에도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선 쉽사리 타협과 협상이 불가능한 문제가 여럿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문제의 핵심은 전쟁으로 얻은 고구려 영토의 점유와 관련된 것이었다. 신라도, 당나라도 큰 희생을 치르며 얻어낸 땅을 한 평이라도 더 가지고 싶었을 터. 그와 관련해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편찬위원회가 출간한 ‘통일신라 시기 1-중앙과 지방’을 간략하게 인용한다.

 

“무열왕 김춘추와 당 태종 이세민은 나당동맹을 체결하면서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이후 대동강 이남의 땅은 신라가 차지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이 시기 고구려의 수도 평양은 대동강 북쪽에 있었다. 때문에 당은 고구려 수도를 차지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그 결과 신라는 대동강 이남의 땅을 차지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당은 신라와 공동 군사작전을 펼쳐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이후에는 한반도 전체를 자신의 직할영토로 하려 했고, 신라는 김춘추와 당 태종 사이에 맺어진 전후 처리 합의대로 대동강 이남을 영토로 하려고 했다.”

 

국가와 국가 사이에 체결된 약속이 깨질 경우 통상은 두 나라 가운데 더 강력한 힘을 가진 나라가 보다 유리한 입장에 서는 것이 부정할 수 없는 사실. 동서양의 지나온 역사를 되짚어 봐도 대부분이 그러했다.

하지만, 신라는 달랐다. 당나라가 애초에 맺은 협정을 부정하며 백제와 고구려는 물론, 신라의 영토까지 ‘식민지화’ 하려는 모습을 보이자 이를 거칠게 거부한다.

입으로는 동맹을 말하면서 실제로는 삼한(신라·백제·고구려)을 한꺼번에 집어삼키려 했던 당나라의 야망은 이미 백제가 절멸된 660년 직후부터 시작됐다. 이 사실은 다음에 인용되는 ‘나무위키’의 서술을 읽어보면 이해가 가능하다.

 

“백제를 멸망시킨 이후 아직 고구려와 본격적으로 싸우기 이전부터 영토 문제를 비롯한 당나라와의 여러 이익들이 상충되기 시작하면서, 신라의 불만은 점점 축적돼 갔다. 당에게 주권의 일부까지 바치다시피 하면서 전쟁을 수행했지만, 실익은커녕 위협까지 생긴 격이었으니 말이다. 특히 이런 불만 속에서 663년에 당 조정이 신라를 계림대도독부로 삼고 문무왕을 계림주 대도독으로 임명하는 등의 행태를 보였다. 물론 실제로는 신라가 멀쩡히 존재했으니, 구 백제 땅에 설치한 웅진도독부와 달리 당나라의 계림대도독부로 기능하는 건 아니었지만 상징적으로 당나라에 편입시킨다는 의도가 엿보이는 행위였다.”

 

문무왕과 김유신을 비롯한 7세기 후반 신라의 집권층은 마구잡이로 뻗어가는 당나라의 정치·사회적 욕망을 지켜볼 수만은 없었다.

그럴 경우 백제와 고구려를 무릎 꿇리기 위해 사용된 국력의 손실을 어디서도 보상받을 수 없었기 때문.

그래서다. 신라는 부득불 당나라와의 결사항전(決死抗戰)을 백성들에게 선언한다. 황산벌전투와 평양성전투에 이어 다시 한 번 많은 피를 흘릴 수밖에 없는 전쟁이 눈앞으로 다가온 것이다.

◆ 676년, 마침내 당나라를 축출하고 이룬 온전한 삼한일통

대부분의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건 일이나 사건이 전개되는 과정이 아닌 최종 결과다. 그렇다면 신라와 당나라 간의 전쟁은 어떻게 끝이 났을까?

이에 관한 결과부터 먼저 이야기하자. 많은 이들이 역사책을 읽어 잘 알고 있듯 이 전쟁에선 신라가 이긴다. 다시 한 번 ‘통일신라 시기 1-중앙과 지방’의 한 대목을 옮긴다.

 

“(앉아서 당하고만 있을 수 없던 신라는) 당의 정책에 정면으로 대결했다. 이리하여 나당전쟁이 벌어졌다. 7년간 행해진 이 전쟁 가운데 매소성전투와 기벌포해전의 승리로 신라는 마침내 당나라 군대를 몰아내고 삼국통일을 완성했다.”

 

참으로 길고 긴 싸움이었다. 660년 백제가 무너지고, 8년 후 고구려가 나당연합군에 굴복한 뒤로부터도 8년의 시간이 더 흘러서야 신라는 완성된 형태의 삼한일통(삼국통일)을 제대로 맛본다. 676년. 마침내 당나라가 신라에게 백기를 들고 자신들의 땅으로 돌아간 것.

 

“신라는 자력으로 당나라의 한반도 지배 야욕을 저지하고 쫒아냈다. 신라가 승전했기에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기 쉬우나, 나당전쟁은 오늘날로 치면 중견국이 어떤 나라의 지원군이나 경제적인 도움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초강대국과 1대1로 싸워 물리친 것과 비견될 수 있을 정도로 국력 차이를 지혜롭게 극복한 위대한 승리였다.”

 

위의 문장은 ‘나무위키’가 나당전쟁의 역사적 의미를 간략하게 정리한 것이다.

(계속)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경주의 재발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