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대표 선출 대의원 투표 배제<br/>김 “부족한 말로 불편 드려 사과”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10일 당 대표 선출에서 대의원 투표를 배제하고 공천 시 현역 의원 하위 평가자에 대해 감점을 강화하는 혁신안을 발표하며 활동을 종료했다.
혁신위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3차 혁신안에 대해 “당 최고 대의기구인 당 대표와 최고위원은 권리당원 1인 1표 투표 70%와 국민여론조사 30%로 선출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현행 지도부 선출에서 대의원 30%, 권리당원 40%, 일반당원 5%, 국민여론조사 25%를 반영하고 있다. 이는 권리당원 반영 비율을 올리고 대의원 몫을 배제해 사실상 ‘대의원제 폐지’를 제안한 것으로, 그동안 당 강성 지지층인 ‘개딸’과 친명계 성향의 지도부가 주장해 왔다.
서복경 혁신위원은 기자회견에서 “지지 기반이 없는 지역에서 대의원을 통해 민주당의 확장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 제도의 기원”이라며 “그때에 비해 당원 수가 100배 늘고 전국 기반이 확장되고 어쨌든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도 큰 정당 중 하나라 더는 그런 제도(대의원제)를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에 대해 ‘사실상 대의원제 폐지가 아니냐’는 질문이 나오자 서 위원은 “전대 투표권 행사 문제와 일상적으로 대의 기구로 활동하는 대의 기구가 분리되는 것이지, 하나가 살고 하나가 폐기되는 게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혁신위는 내년 공천 규칙 혁신안에 대해 “선출직 공직자 상대평가 하위자에게도 과거보다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수 있어야 한다”면서 “현재 하위 20%에게 경선 득표의 20% 감산을 적용하는 규정을 하위 10%까지는 40%, 10∼20%는 30%, 20∼30%는 20%를 감산할 것”을 제안했다.
이날 3차 혁신안 발표를 끝으로 김은경 혁신위원장도 사퇴 의사를 밝히며 혁신위 활동은 마무리됐다. 혁신위는 당초 9월초까지 활동할 계획이었으나 김 위원장의 ‘노인 폄하’ 논란과 가족사 문제 등으로 동력을 잃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결국 조기 종료를 선언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활동 종료를 발표하며 “그동안 부족한 말로 불편을 드린 점에 대해 정중히 사과드린다”고 전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