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동력 잃은 ‘김은경 혁신위’ 해체론 봇물

고세리기자
등록일 2023-08-07 19:42 게재일 2023-08-08 3면
스크랩버튼
노인 비하 이어 가정사 구설까지<br/>민주당 안팎서 연일 비판 쏟아져<br/>친명-비명 계파간 대립 불거질듯
더불어민주당의 쇄신을 위해 구성된 혁신위원회가 연일 구설에 오르는 등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발언으로 ‘노인 비하’ 논란이 불거진 데 이어 가정사까지 오르내리는 등 연이어 구설에 오르자 ‘혁신위 해체’ 주장까지 힘을 얻고 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2030 청년좌담회’에서 둘째 아들이 중학생 때 자신에게 질문한 ‘왜 나이 든 사람들이 우리 미래를 결정하느냐’라는 발언을 소개하며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젊은 사람들과) 일대일 표결해야지? 합리적이지만 민주주의 국가에서 1인 1표 선거권이 있어 할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이후 여론이 악화하자 지난 3일 대한노인회를 찾아 직접 사과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시부모를 18년간 모셨고, 작년 말 선산에 모셨다”며 “어르신에 대해 공경하지 않는 마음을 갖고 산 적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런데 김 위원장의 시누이 김지나 씨가 등장해 “(김 위원장이) 시부모를 모시고 산 적이 없다”며 가정사를 폭로하는 글을 게시했다. 김 위원장 아들은 이를 두고 “어머니는 비극적 사건으로 남편을 잃고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돌보며 너무나 바쁘고 힘들게 살아왔는데 어머니와 저희의 삶이 이렇게 부정당하니 가슴이 아프다”고 반박했다. 양쪽 주장이 엇갈리자 진실 공방이 벌어지며 논란은 확대되고 있다.


상황이 악화하자 혁신위는 8일 대의원제 축소·총선 공천 규칙 등을 고려한 혁신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일부터 민주당 의원들 및 당직자들을 대상으로 혁신위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 조사에서 민주당 혁신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대의원제 폐지에 관한 내용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잇단 설화와 혁신위의 국회의원 체포동의안 기명투표 등을 두고 연이은 당 안팎의 비판이 쏟아지며 혁신위 동력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또 발표를 앞둔 대의원제 관련 혁신안에 대한 친명계와 비명계의 입장도 엇갈리고 있어 계파간 대립이 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친명계 좌장으로 꼽히는 정성호 의원은 7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민주당) 대의원 제도 폐지는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면서도 “전당대회 때 대의원 표가 일반 권리당원보다 60배 이상 더 가중치가 부여되는 상황이기에 이 부분을 조금 조정해야할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광온 원내대표는 대의원제 폐지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다. 그는 지난 6일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대의원제 폐지는 대의민주주의 기본 원리에 반할 수 있다”며 “권리당원 숫자가 부족한 지역, 전략지역 취약지역이라 얘기하는 대구경북 지역이나 부울경, 강원도 이런 지역의 편중현상을 해소하자는 목표를 갖고 있는 전국 정당의 목표를 버릴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윤영찬 의원은 혁신위를 비판하며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혁신위가 혁신위를 운영해야 할 동력을 이미 상실했다”며 “그간 혁신위가 혁신안으로 낸 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불체포특권 포기이고, 다른 하나가 꼼수 탈당 방지책이다. 이 중 1호 혁신안(불체포특권 포기)은 간신히 반쪽짜리로 통과했고 2호(꼼수 탈당 방지책)는 선언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혁신위에서 혁신안을 내놓는다고 해도 도덕적인 권위가 인정이 안 될 것”이라며 “지금 이런 문제들이 계속 터지고 혁신위가 오히려 혁신의 대상이라는 얘기까지 나오는데 혁신위가 무슨 안을 내놓은들 깊이 있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