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복구까지 장시간 방치 우려<br/>김승수 의원 “보수비 확보 시급”
지난달 집중호우로 인해 경북도내 국가유산 20곳이 수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응급복구 조치는 대부분 완료됐으나 문화재 긴급보수예산은 턱없이 부족해 훼손된 국가유산이 완전히 복구되려면 장시간 방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6일 국민의힘 김승수(대구 북을) 의원이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3년 장마철 국가유산 피해·조치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폭우로 전국 69곳의 국가유산이 훼손·침수 등 직접적인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또 9곳은 주변지가 파손되는 등 총 78곳에서 풍수해로 인한 국가유산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 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산사태 등 피해가 집중됐던 경북이 20곳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 13건, 충남 11건, 경남·충북이 각각 7건, 전북 6건 순이었다. 국가유산 지정등급별로 보면 시설 주변 토사 유실 등의 피해를 입은 영주 부석사 등 국보가 2건, 경내 법면 토사가 유실된 예천 청룡사 등 보물 4건, 사적 26건, 천년기념물 13건, 명승 10건, 국민 13건, 등록 10건이 풍수해로 인해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은 하천범람으로 난간, 수목 등 주변 시설이 유실되고 담장 및 석축이 붕괴됐고 안동 하회마을도 담장 20m가 무너져내리는 피해를 입었다.
이처럼 경북도내 국가유산은 문화재 직접 훼손보다는 주변 지반이나 시설물의 피해가 컸고, 현재는 경북도와 각 시·군의 긴급 인력투입으로 석축을 다시 쌓는 등의 응급복구 작업은 상당 부분 완료됐다. 하지만 잦은 기상이변과 태풍 등의 영향으로 언제 다시 피해를 입을 지 모르는 상황이라 긴급 보수예산 확보가 절실한 실정이다.
문제는 훼손된 국가유산을 신속하게 복구해야 할 사업비가 미미하다는 점이다. 김 의원에 따르면, 문화재 긴급보수비 예산은 총 37억1천만 원 중 26억1천400만원이 이미 지출돼 남은 예산은 10억9천600만 원에 불과하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10억 원으로 현재 발생한 풍수해 피해를 긴급보수비로 모두 복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국가유산의 위치 특성 등을 종합 고려해 재난안전관리 사업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한편, 피해 발생 시 신속하게 문화재를 복구해 2차, 3차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문화재긴급보수비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세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