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상의 일자리 인식 조사<br/>공공기관 취업 선호도 높지만<br/>눈높이 낮춰 중견기업 더 선택
이는 취업시장 한파와 물가상승, 불경기의 장기화 등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청년 구직자들의 취업 눈높이가 현실적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 청년구직자 220명을 대상으로 한 ‘일자리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는 공공기관(59.6%), 중견기업(54.6%), 대기업(53.2%) 순으로 집계됐다.
현재 준비 중인 직장에 대한 질문에는 중견기업(59.4%)이 공공기관(55.7%), 대기업(26.9%)을 제치고 가장 높았다. 여기에 ‘중소기업(47.5%)’을 준비하고 있다는 비중도 대기업과 공무원(24.7%)보다 높았으며, 특히 ‘중소기업에 취업의향’이 있다는 응답도 69.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이 곱지 않은 시선도 적잖다.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해서는 업무량보다 낮은 임금과 복지(71.8%), 취업문이 낮아서(35.9%), 이직을 위한 경력쌓기(34.5%), 낮은 고용안정성(32.3%) 등 부정적인 인식이 더 많았다.
이에 대해 청년구직자들은 중소기업 일자리가 더 선호되려면 무엇보다 ‘임금수준 향상(80.2%)’이 필요하다고 봤고, 이어 ‘워라벨(61.8%)’ 꼽았다.
일자리 지원정책이 구직에 상당 부분 도움이 된다(70.5%)고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 지원사업에 참여해본 경험(26.4%)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정보 찾기가 어렵다(45.3%)’를 가장 많이 꼽았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지역 청년구직자들의 중견기업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점을 주목하면서 일자리 지원정책 가운데 중견기업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오히려 역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며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각종 인증 등 자격요건을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