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 연구진이 엄청난 논문을 발표했다. 지구물리학 연구 회보에 발표한 논문에서 연구팀은, 1993년부터 2010년까지 인류가 퍼 올린 지하수가 2조1천500t이라고 추정하면서, 이렇게 인위적으로 대량의 물이 이동하면서 지구 자전축이 기울었다고 한다. 연구에서는 이 정도 양이면 해수면이 6.24mm 상승할 만하다고 덧붙인다.
이 뉴스에 이어서, 며칠 전에는 환경 단체 ‘멸종 저항’이 스페인 전 지역의 골프장의 홀컵을 시멘트와 채소 모종으로 메웠다는 기사가 나왔다. ‘멸종 저항’은 지구의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2018년 영국에서 결성된 단체인데, 유명한 청소년 기후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함께하고 있다고 한다. ‘멸종 저항’은 ‘스페인 전역에서 437개의 골프장에 매일 대는 물은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를 합한 인구가 사용하는 양보다 많다’고 주장하면서 유례없는 가뭄에도 인구의 0.6%만이 즐기는 운동을 위해서 물을 이렇게 많이 사용한다고 비판한다. 더 찾아보니, 이 단체는 2022년에도 프랑스에서 골프장 홀을 시멘트로 메운 일이 있었다. 기사로 추측하건대, 올해는 시멘트로 막기만 한 것이 아니라 채소 모종도 심은 것을 보면 운동 방법이 진화한 것 같다.
시멘트로 골프장 홀 컵을 메우는 직접 행동으로 ‘멸종 저항’이 벌금을 물거나 체포되지 않았을지 걱정은 되지만, 그 홀을 유지하는 데 얼마나 많은 물을 쓰는지 안다면 이들의 직접 행동을 이해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미국 골프 협회(GCSAA)의 통계에 따르면, 미국 골프장은 매일 물 1억7300만 리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약 58만 명의 미국인이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라고 한다. 한국 통계를 보면, 2020년 전국의 1만 여개 홀에서 거의 45만 리터를 썼다니, 하루 약 300 리터를 쓰는 한국인 기준으로 150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지구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나 역시 소박하나마 물을 덜 쓰고 오염을 줄이려고 나름대로 애써왔다. 1회용품은 안 쓰거나 재사용하는 것은 물론, 2년 전부터 비누로 머리를 감고 있고, 수십 년간 손빨래를 했다. 세탁기가 물 사용량도 많고 합성세제 때문에 물을 오염시킨다고 해서다.
그러나 아무리 수질 오염에 생활하수의 비중이 60%에 달한다고 해도 개개인의 실천에는 한계가 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질 정도로 지하수 퍼내는 일을 줄이는 것, 골프장의 물 공급을 제한하는 것은 대대적인 정책으로만 가능한 일인데, 이런 소소한 개인의 실천은 자기만족이 될 가능성도 있고, 손가락에 병이 나거나 다른 사정이 생기면 손빨래를 계속하기 어려워지기도 한다.
그렇다고 개인의 실천을 멈출 수는 없다. ‘멸종 저항’ 같은 정치적 직접 행동을 하는 사람도 필요하고, 자기 생활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도 필요하다. 각자 자기의 자리에서 생수 덜 사먹기, 세탁기나 에어컨 덜 쓰기를 하는 것도 여러 사람이 함께하면 의미가 있다. 인간이 자전축을 기울였으면 인간이 멈출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