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대 류정탁 교수팀, 다중객체 추적 기술 이용한 차량 정보 인식기술 개발

심한식 기자
등록일 2023-06-07 14:03 게재일 2023-06-07
스크랩버튼
불법 주정차 차량 식별로 단속 효과
지난 2일 ‘2023 한국산업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받은 대구대 권영희(가운데) 씨와 지도교수인 류정탁 교수(왼쪽)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지난 2일 ‘2023 한국산업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받은 대구대 권영희(가운데) 씨와 지도교수인 류정탁 교수(왼쪽)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번호판이 일부 가려져 보이지 않는 불법 주정차 차량의 식별성으로 단속 효과를 높인 기술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대구대 류정탁 교수(전자전기공학부) 연구팀은 최근 ‘임베딩 기반 다중객체 추적 기술을 이용한 차량 정보 인식기술’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딥러닝(Deep learning) 및 임베딩(Embedding) 기술 기반의 다중 객체 추적 프레임 워크 기술을 활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기술이다.

현재 불법 주정차 단속은 단속 차량이 도로를 돌며 위반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거나, 고정 CCTV를 통해 주정차 금지 구역에 주정차 된 차량을 찍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방식은 차량의 번호판이 일부 가려지거나 보이지 않으면 해당 차량을 인식하지 못해 단속 대상에서 제외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 때문에 불법 주정차 차량이 차 간격을 좁혀서 주차하거나, 사선 주차, 차량의 번호판을 고의로 가리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단속을 피해 왔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딥러닝 및 임베딩 기술 기반의 다중객체 추적 프레임 워크 기술(Re-ID distance 기술)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했다.

이 기술은 한번 CCTV에 찍힌 불법 주정차 차량을 고유의 객체로 인식함으로써 번호판 일부가 보이지 않거나, 차량이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더라도 재식별 할 수 있어 단속의 효과를 높인다.

또 차량뿐만 아니라 사람에 대한 고유한 식별도 가능해 범죄자 추적, 실종자 수색 등과 같은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2일 열린 ‘2023년 한국산업정보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받으며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대구대 류정탁 교수의 지도로 기술을 개발한 대구대 스마트융합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인 권영희 씨는 CCTV 관련 지역 기업에서 일하고 있어 더욱 눈길을 끈다.

권영희 씨는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의 CCTV 시스템에 도입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앞으로 전국적인 확대는 물론 해외 시장까지 진출할 수 있도록 후속적인 연구개발을 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대 스마트융합시스템공학과(학과장 정규만)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운영하는 중소기업 계약학과(석사과정)로, 중소기업 재직자에게 수업료의 최대 100%를 정부에서 지원하며 전문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