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기업평가원 타당성 검토용역… 주민공청회 등도 신속 추진 <br/>농수산물·한약재·축산물도매시장 관리운영의 전문·효율성 위해
현재 대구시가 직접 관리하고 있는 대구북부농수산물도매시장, 한약재도매시장, 축산물도매시장에 대한 관리운영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지방공기업법에 근거해 관리공사 설립을 추진 중에 있다.
특히, 농수산물도매시장은 전국 33개 공영도매시장 중 3위의 거래 규모(2022년 1조1천억 원)의 대규모 도매시장임에도 대구시 직영에 따라 잦은 순환 전보로 전문적 관리에 한계가 있다.
또 공공시설관리공단이 주차장 및 관련 상가 관리를 대행함으로 인해 관리시스템이 직영과 대행으로 이원화되어 있어 예산운용 측면에서도 효율이 떨어지고 소비자 식품소비패턴 변화와 급변하는 농수산물 유통환경에 따라가지 못하는 경영마인드 등 시장관리의 동태적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거래 규모 기준으로 각각 전국 1, 2, 4위인 서울 가락·강서도매시장 및 구리도매시장의 경우 이미 출범 당시부터 지방공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2월 13일 행정안전부와 1차 협의를 완료했고, 정부가 고시한 전문기관인 지방공기업평가원의 예비검토가 마무리됨에 따라 본격적 타당성 검토를 거쳐 주민공청회, 부처 협의, 조례 제정 등의 절차를 신속히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안중곤 대구시 경제국장은 “대구농수축산물유통관리공사 설립은 도매시장 이전과 더불어 기능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해 유통 선진화를 이루고, 나아가 영남권 거점 도매시장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