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장마 반복에 상권 온도 차 18년만에 재개장 송도해수욕장 상인들 얼굴에 웃음 대신 근심 이용객 30% 늘어난 셀프빨래방 키즈카페 등 실내업종 기상 특수
폭염과 장마가 번갈아 이어지는 가운데 포항지역 상권은 극명한 온도 차를 보이고 있다. 빗속에 발길이 끊긴 해수욕장과 전통시장 상인들은 울상을 짓는 반면 실내 기반 업종은 기상 특수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송도해수욕장은 2007년 폐장 이후 18년 만에 다시 문을 열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인근 상인들의 얼굴엔 웃음 대신 근심이 가득하다. 개장 직후부터 이어진 장맛비 탓에 해수욕장을 찾는 피서객의 발길이 뜸해졌기 때문이다.
송도해수욕장 인근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A씨는 17일 “개장하자마자 비가 시작돼 손님이 거의 없는 상황”이라며 “하늘이 하는 일이니 어쩔 수 없지만, 올해는 재료비도 올라서 걱정이 많다”고 털어놨다.
전통시장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이날 죽도시장 골목에는 우산을 챙겨 든 손님들이 드문드문 눈에 띄었지만, 평소에 비하면 한산한 분위기였다.
반찬가게를 운영 중인 김모 씨(60대)는 “비가 오면 손님이 집 밖에 나오지를 않는다. 너무 더워도 마찬가지”라며 “비가 오면 손님이 끊기고, 더우면 상품이 상한다. 이럴 땐 차라리 문을 닫는 게 나을 때도 있다”고 하소연했다.
하지만 이런 날씨가 반가운 곳도 있다.
셀프빨래방과 키즈카페 같은 ‘실내 기반 업종’은 오히려 궂은 날씨의 수혜 업소들이다.
포항시 남구의 한 셀프빨래방은 장마가 시작된 이후 하루 평균 이용객 수가 평소보다 20~30% 늘었다. 이곳 점주는 “비가 오면 집에서 마르지 않는 빨래가 많아져 방문이 늘어난다”며 “특히 꿉꿉한 운동화나 침구를 건조까지 할 수 있어 반응이 좋다”고 설명했다.
장마철 외출이 어려워진 아이를 데리고 키즈카페를 찾는 가족도 많다. 포항시 북구의 한 키즈카페 관계자는 “주말은 물론 평일에도 손님이 늘었다. 실내에서 시원하고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을 찾는 부모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이 기후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의 변화를 보여준다고 분석한다.
조규봉 한동대 경영경제학부 교수는 “최근의 장마는 과거처럼 일정 기간 비가 꾸준히 내리는 형태라기보다는 게릴라성 집중호우와 불볕더위가 번갈아 이어지는 불규칙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이러한 기상 패턴이 반복된다면 소비자 행동 역시 점차 변화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이어 “극단적인 기후는 전통적 오프라인 상권을 위축시키는 반면, 실내 기반의 업종에는 기회로 작용한다”며 “기상 요인에 민감한 업종일수록 운영 전략을 유연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