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유일한 시설 수요 몰린데다<br/>환절기 사망자 늘어, 원정화장도<br/>현대화사업 주민반대로 진척없어<br/>노후설비 유지보수 수십억 낭비
“가시는 길이라도 편히 모시고 싶었는데, 하염없이 기다려야만 하네요.”
대구시 장례시설인 명복공원을 이용하는 유가족 등 대구시민들의 불평 목소리가 높다. 화장수요 폭증으로 명복공원 화장시설 이용률이 하루 처리용량을 넘어서는 등 적정 수준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증가와 함께 환절기 고령 사망자까지 느는 계절적 요인으로 화장수요가 급증, 하루 가동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가 빈발, 화장장에 비상이 걸렸다.
명복공원은 대구의 유일한 화장시설로 11기의 화장로를 보유하고 있다. 365일 연중무휴로 가동해 1일 45구, 연 1만6천425구의 화장이 가능하다.
17일 기준 명복공원 화장예약현황은 지난 15일 전체 예약이 60건(인터넷 및 전화예약)이었다. 풀가동시 처리할 수 있는 하루 55구를 5구 초과했다. 나머지 5건은 시설을 비상가동해 처리해야 했다. 현재 17일 1건, 18일도 잔여 예약이 2건 초과 상태다. 이같은 추세라면 4월 남은 기간도 처리용량을 넘어설 전망이다.
대구시설관리공단 측도 이러한 상황에 맞춰 화장로 가동 회수를 최대한 늘려 유동적으로 운영 중이지만, 한계에 달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구 인근은 물론 경북에 연고가 있는 사망자는 구미, 의성, 상주는 물론 영주, 포항, 울진 등 타지역 화장터를 이용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다. 대구 명복공원을 이용할 경우 대기시간이 길어져 자칫 4일장을 치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 16일 늦은 시각까지 기다려 겨우 상을 치렀다는 김모(48)씨는 “화장을 못 해 장례기간을 늘리는 건 고인에게도 예의가 아니고, 유가족들도 너무 힘들다”며 “대기시가이 길어지면 그만큼 유가족들도 힘들다. 대구시 차원에서 빠른 대책을 세워줬으면 좋겠다”고 하소연했다.
그러나 대구시가 추진 중인 명복공원 확장 및 현대화사업은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주민 반대가 심해 진척이 없기 때문이다.
명복공원은 지난 2007년부터 이전 또는 시설확장 등을 두고 논의를 이어왔지만,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화장터가 전형적인 주민기피시설인 탓에 이전은 물론, 기존 위치에서 확장하는 방안에도 주민들의 반대가 거세다.
현대화 사업이 지연되면서 예산 낭비도 심각하다.
대구시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 명복공원 유지 보수에 투입된 예산은 47억 원을 웃돈다. 건립 당시부터 운영됐던 화장로 6기가 노후화돼 최근에야 시설을 교체했고, 급격히 늘어난 운영회차에 설비 가동에 과부하가 걸린 상황이다.
이에 대구시는 명복공원 현 위치에서 확장하는 계획을 세우고 주민들을 설득 중이다. 오는 7월까지 주민들의 주장과 요구 등을 듣는 갈등관리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용역 결과에 따라 주민들과 합의점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대구시는 5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명복공원 현대화 사업에 관한 갈등 및 관리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수성구는 주민 공청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해 복지관과 요양원, 실버타운을 한 곳에 모아 ‘노인복지타운’ 조성을 요청할 계획이다.
한편 대구시립화장장인 명복공원은 지난 1925년 남구 대명동에 처음 건립된 이후 1966년 현 위치인 수성구 고모동 4만5천349m² 부지에 이전, 건립됐다. 이곳에서는 지난 2021년 1만5천313구를 소화해 가동률 93%를 기록했으며, 지난해에는 1만7천603구를 화장해 가동률이 107%에 달하기도 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