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는 요즈음 명이 채취가 한창이다. 울릉도 심심산골은 아직 눈이 녹지 않았지만 국유림지역에 명이채취를 위해 울릉도주민들에게 1일부터 명이채취를 허용했다.
산림청으로부터 양여(讓與) 받은 울릉군산림조합(조합장 최영식)이 울릉주민 700여 명에게 채취 증을 발급해 20일까지 명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했다.
따라서 울릉도 명이는 이른 봄 눈 속 습한 곳에서 자생해 주민들에게 봄철 양식(糧食)을 만들어주는 식물이다. 그런데 눈도 내리지 않고 습하지도 않은 육지에서 키운 '산마늘'을 '명이'라고 부른다.
더군다나 어학문화를 선도해야 할 공영방송조차 육지에서 생산된 '산마늘'을 '명이'라고 부르고 있다. 최근 방송된 한 프로그램에서 육지 농촌에 귀촌한 농부를 소개하면서 이 농민이 재배하는 '산마늘'을 처음부터 끝까지 '명이'라고 했다.
울릉도 '명이'의 학명은 백합과(Liliaceae) 산마늘(Allium victorialis L. var. platyphyllum (Hulten) Makino)이다. 따라서 당연히 옳바른 언어순화를 위해 '산마늘'이라 불어야한다. 일반인들이 명이라고 부르는 것을 뭐라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공영방송이 육지산을 '산마늘'이라 하지 않고 '명이'라는 것은 어불성설(語不成說) 잘못된 표현이다. 울릉도 사투리를 공영방송이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다.
울릉도에서는 오징어는 ‘잇까’ 파도를 ‘나불이’ 해안가를 ’연변‘ 많다를 ’개락빼까리‘라고 부른다. 따라서 공영방송이 '산마늘'을 '명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와 같은 울릉도 사투리를 쓰는 것과 같다.
공신력이 있는 공영방송이 이같이 공식명칭인 '산마늘'을 '명이'라고 표현함에 따라 언어순화에 문제가 있지만 더 큰 문제는 이로 인해 울릉도 주민들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이다.
매년 2m가 넘게 내리는 눈 속 습한 화산토질에서 자라 맵고, 단맛과 부드러운 줄기, 잎을 가진 울릉도 '명이'와 육지 '산마늘'은 자라는 환경도, 영양, 맛도 크게 다르다.
하지만, 울릉도 '명이'가 인기를 끌자 육지에서 재배를 시작 이제 너도나도 '명이'라고 부르고 있다. 전국에서 '명이'가 생산되다 보니 울릉도 '명이' 가격이 하락하고 잘 팔리지 않다는 설명이다.
울릉도 토질은 육지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육지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같은 식물이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울릉도 특유의 식물로 변해 울릉도 원종이 된 것은 물론 세계에서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식물도 50여 종에 이른다.
고로쇠나무도 육지고로쇠 나무와 아예 다르다는 것이 밝혀져 울릉도 토종나무로 바뀌었다. 이처럼 환경이 전혀 다른 곳에서 자란 육지 '산마늘'이 '명이'가 될 수 없다.
울릉도'명이'는 농가에서 재배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국유림에서 자생하는 것을 울릉도주민들이 채취 허락을 받아 약 20일간 채취한다.
이렇게 귀하게 채취된 '명이'가 전국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요즈음 아무 데서나 '명이'를 볼 수 있다. 육지에서 생산되는 것은 당연히 '산마늘'이라고 해야 한다.
울릉도 토박이나 어르신들은 '명이'에 대해 절 때로 나물이라는 말을 붙이지 않는다, 명이나물이 아니라 그냥 '명이'다. 이유가 있다.
울릉도 개척 당시 눈이 많이 내려 긴 겨울을 보내면서 먹을 것이 없는 이른 봄 파랗게 돋은 '명이'의 뿌리는 삶고 말려서 가루를 만들어 음식을 만들어 허기진 배를 채우고 줄기와 잎은 물김치 등을 만들어 먹으면서 명(命)을 이었다 해서 '명이'다. 따라서 명이나물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육지는 눈이 많이 오지 않을뿐더러 봄철 먹을 것이 없어 '명이'를 음식으로 만들어 먹지도 않았는데 ”명을 이었다고 해서 명이“라며 설명까지 하는 황당한 방송을 보면서 울릉도 주민들은 울분을 금치 못했다. 공영방송이 앞장서 바로잡아 주길 간절히 바란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