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620개사 경기전망조사
경기회복에 대한 중견기업들의 기대감을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023년 2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경기 전반 전망지수가 직전분기(93.4) 대비 0.7 포인트 상승한 94.1로 나타나 소폭 개선됐고, 설비투자규모 전망지수가 101.8로, 직전분기(98.9) 부정 전망에서 긍정 전망으로 전환됐다고 최근 밝혔다.
경기전망조사는 중견기업 620개사를 대상으로 분기별 경기·경영실적 등을 직전분기와 비교하여 해당 분기를 평가하고 다음 분기를 전망한 결과로써, 지수가 100 이상이면 직전 분기보다 다음 분기를 긍정적으로, 100 미만이면 부정적으로 전망한다는 의미다.
제조업은 94.2(3.7p↑)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부정적으로 전망했으나, 자동차 및 화학 업종의 긍정 전망으로 지수는 소폭 상승했다. 자동차(104.1, 3.4p↑)는 친환경차 · 스포츠유틸리티차량 등 신차 판매 호조 등의 영향으로 긍정 전망이 유지됐고 화학(100.0, 20.4p↑)은 대규모 석유화학제품 생산시설 착공에 따른 기대감 등의 영향으로 직전분기(79.6) 대비 대폭 상승해 긍정적 전망으로 전환됐다.
또한, 1차 금속(96.6, 10.8p↑)은 철강(차량용 강판) 수요 증가 등으로 직전분기(85.8) 대비 소폭 상승했다.
비제조업은 94.1로 부정적 전망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89.7, 3.1p↓)은 건설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소폭 하락했으며, 운수업(74.0, 9.4p↓)은 경기침체 지속, 해상운송료 감소 등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수출은 97.3로 직전분기(96.7)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105.8, 2.6p↑)는 미래차 수요 증가, 물류난 개선 등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전자부품(87.4, 7.7p↓)은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직전분기(95.1) 대비 하락했다.
내수는 93.6으로 직전분기(94.9) 대비 소폭 하락(1.3p↓)했다.
제조업 중 자동차(102.8, 2.6p↓)는 긍정 전망이 유지되었으나, 식음료품(72.6, 25.7p↓), 전자부품(90.0, 7.9p↓) 등은 전기 대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비제조업은 운수업(74.4, 8.3p↓)과 건설업(87.5, 4.5p↓)의 하락 폭이 증가했다.
생산 전망지수는 99.9로 긍정(100)에 근접한 지수로 조사됐다. 대부분의 업종에서 부정적 전망을 유지하는 가운데, 자동차(106.8, 1.9p↑), 1차금속(100.6, 9.9p↑)의 지수가 소폭 상승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설비투자규모는 101.8로 직전분기 부정 전망(98.9)에서 긍정 전망으로 전환됐다. 이는 2021년 3분기(102.3) 이후 가장 높은 전망지수로서, 특히, 1차금속(105.8), 자동차(103.8) 업종에서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중견기업은 2023년 2분기 평균 설비가동률을 80.5%로 전망했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