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권익위원회의 2021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에서 대구시의 종합 청렴도는 4등급으로 서울과 세종, 강원, 경남과 함께 최하를 기록했다.
이에 대구시는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최상급(청렴 1등급) 달성을 목표로 4대 전략, 20개 추진과제를 채택해 ‘2023년 청렴도 향상 특별대책’을 강도 높게 추진한다.
시는 지난해 취약분야 실무자 → 청렴리더(팀장급) → 청렴정책 유관 부서장 순으로 의견을 수렴하고 전 직원 대상 무기명 청렴실태조사, 외부민원과 내부직원 대상 자체청렴도 측정결과, 청렴도 우수기관 벤치마킹 결과를 토대로 취약점을 심층 분석하고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으로 수립했다.
시는 20일 ‘건설·인사비리 엄중 관리 및 단호한 대처’, ‘청렴도 최상급 달성’이라는 민선 8기 강력한 청렴의지를 정책 동력으로 올해 첫 ‘파워풀 대구 청렴 간부회의’를 열고 올해 청렴도 향상 특별대책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먼저 청렴정책 제도기반 확립 분야는 정책 컨트롤타워로 ‘파워풀 대구 청렴 간부회의’를 운영한다. 청렴 간부회의는 정책방향과 주요 과제를 설정하고 그 추진상황을 점검한다. 또 취약분야 실무자, 청렴리더, 청렴사회민관실무협의회 회원으로 ‘청렴민·관 실무지원단’을 구성해 청렴 간부회의 운영을 지원하고 평가 우수부서 및 공무원에게 성과평가 가점, 포상금, 표창 등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반부패 제도의 생활 규범화 분야에서는 건설·인사분야 비리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시행하고 직무관련자와의 불필요한 오해를 차단하기 위해 업무 과정에서의 사적 접촉을 금지하며, 금품수수와 향응제공 등 비위행위 공무원은 엄중 문책한다.
공직 혁신, 일하는 조직문화 조성 분야에서는 자체청렴도 측정결과 하위 부서 등에 대해 감사위원장이 직접 찾아가는 청렴컨설팅을 실시하고 ‘사전 컨설팅감사 자문단’, ‘문제해결형 현장 컨설팅 추진단’을 운영한다.
민과 함께하는 청렴 거버넌스 구축 분야에서는 청렴사회민관실무협의회를 중심으로 민·관 정책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청렴시민감사관은 취약분야 제도개선 건의, 공공시설물 이용 불편 해소를 위한 ‘살피소’ 운영 참여에 집중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민선 8기 강력한 청렴 의지로 청렴도 1등급의 청정 시정을 만들겠다”며 “특히 건설·인사비리에 대해서는 일벌백계로 단호히 대응하여 공직비리를 뿌리 뽑겠다”고 강조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