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주변·주택가 골목 등 곳곳<br/>선정성 명함형 전단지 널브러져<br/>아이들 시선 뒷전 막무가내 홍보<br/>호기심 많은 아이들 유혹 등 걱정<br/>시 “근절 힘들지만 최선 다할 것”
4년 만의 대면 개학을 맞이하면서 초·중·고등학생들의 등하굣길 학교 주변과 인근 상가나 주택가 등에서 선정성을 띤 다수의 불법광고물이 방치돼 있어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4일 오후 포항시 남구 대도동에 위치한 대해초등학교 인근. 등하굣길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보호펜스 안쪽 보도블록 노면 위로 유흥업소나 대부업체가 뿌린 각종 불법 광고물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같은 날 북구 죽도동의 대잠초등학교 인근도 사정은 비슷했다. 불법 유흥업소를 홍보하는 명함형 전단지가 학교 주변과 일대의 주택가 사이 골목 곳곳에 흩어져 있었다.
이처럼 불법 전단지들은 등하교하는 아이들에게 그대로 노출되어 정서적 피해가 야기될 수 있어 이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해초등 학부모 한모(42·남구 대도동) 씨는 “유흥업소같은 불법업소의 전단지들이 아이들 눈에 잘 띄는 곳에 있어 혹시나 학생들이 호기심에 전화하지는 않을까 걱정되긴 한다”며 “저런 전단지가 길에 돌아다니는 건 예삿일이 아니지만 아이들의 정서를 위해 학교 근방만이라도 단속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포항시는 명함형 불법 전단지를 비롯한 각종 불법 광고물들을 근절하기 위해 꾸준히 단속을 실시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단속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불법 광고물을 유포하는 업체 대부분이 대포폰을 이용하고 있어 특정하기 어렵고, 유포자를 현장에서 적발한다 하더라도 이륜차를 이용해 달아나거나 광고물을 유포한 게 아니라 버리고 있었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업체들을 적발하는 게 어렵고, 불법 광고물 관련 민원이 꾸준히 증가하자 시는 지난 2017년부터 매년 5천4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일정량의 불법광고물을 수거해 오는 시민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불법 광고물 보상수거제’를 실시했지만 광고물을 유포하는 업체를 근절하는 게 아니라 이미 유포된 광고물들을 시민들을 통해 수거하는 정도의 효과만 있었다.
포항시 관계자는 “포항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국민 신문고 앱 등으로 불법광고물 관련 민원을 꾸준히 접수하고 있고,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라며 “작년 2월부터 불법광고물에 표기된 업체의 번호로 계속 전화를 걸어 해당 번호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자동 경고 발신 시스템’을 도입해 1천200개 이상의 번호들을 등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번호를 못 쓰게 되자 전화번호 끝의 한자리만 바꿔 계속 광고물을 유포하는 업체들이 발견되고 있어 불법광고물을 근절하는 게 여전히 어려운 건 사실이지만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경모기자 gk0906@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