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주사 본사·미래기술연 포항 이전 소모전 양상
포스코 지주사 본사·미래기술연구원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와 포스코측의 장기간 갈등이 접점을 찾지 못하고 소모전 양상을 띠면서 그 후유증이 포항지역 경제에 미치지 않을까 우려된다.
14일 범대위측에 따르면 포항시민 1천여명은 이날 오전 상경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용산 대통령실과 수서경찰서, 서울 포스코센터 등에서 포스코홀딩스 최정우 회장 퇴진을 요구했다.
특히 강남 서울 포스코센터로 자리를 옮겨서는 ‘최정우 회장은 포스코를 위해서라도 즉시 사퇴하라’, ‘최정우 회장의 ESG 경영은 신뢰를 잃었다’, ‘최정우 회장은 지방소멸과 지역 균형 발전 역행 말라’ 등 현수막과 피켓 등을 내걸고 목소리를 높였다.
범대위 강창호 위원장은 “최근 포스코가 포스코 지주사 본사와 미래기술연구원을 조만간 있을 이사회와 주총을 통해 간판(이름)만 포항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연 것은 포항시민들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드시 인력과 조직 등 실질적인 이전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포스코측은 범대위측의 집회와 관련, 도를 넘는 집단 행동에 나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주주가 아닌 시민단체들이 당초 합의안을 넘어 단체 행동으로 기업의 인력과 조직배치까지 문제를 삼는 등 기업 경영에 개입하고 압박하는 것은 주주 및 기업가치 훼손은 물론, 기업의 경쟁력 저하와 지역 투자의 위축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포스코홀딩스는 지주사가 갖는 소재지의 상징적 의미가 중요하다는 지역사회의 의견을 수용해 소재지 이전 합의를 이행할 계획”이라며 “포스코는 포항시와 상생협력TF를 지난해 3월에 구성해 총 7차 회의를 진행해오면서 합의안을 성실히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주사 주소지 포항이전 안건을 논의하는 포스코 이사회(16일)를 앞두고 시민단체의 대규모 상경시위와 포스코측의 반박이 이어지자 지역에서는 더 이상 갈등이 확대 돼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어쨌든 민간기업의 최정우 회장 거취는 주주총회에서 결정해야할 문제이며 주소지이전에 따른 조직과 인력의 배치문제도 기업논리를 도외시할 수 없지 않느냐는 것이다.
포항을 위한 포스코의 미래투자계획이 회장 거취나 지주사 이전 문제 등에 매몰돼 진척을 보지 못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포항지역경제의 부담으로 돌아온다는 것이다.
주민 A씨(57·포항시 남구)는 “경제논리는 실종되고 정치논리만 난무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포스코가 지역경제에 차지하는 막중한 역할을 생각해서라도 더 이상 갈등확산은 곤란한 만큼 합리적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준혁·이부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