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1만3천445가구<br/>3개월 연속 1만 가구 넘어서<br/>수성구, 3천105가구로 최다<br/>매매·전세가 하락 이어질 듯
대구지역 미분양 아파트가 3개월 연속해서 1만가구를 넘어서면서 1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31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R114 등에 따르면 대구의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12월 현재 1만3천445가구로 전월보다 1천745가구(14.9%)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10년 12월 1만3천163가구 이후 12년 만에 최대 물량으로 지난해 1월 3천678가구와 비교할 때 무려 3.65배나 증가한 수치다.
특히 전국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1만 가구가 넘어선 상태이고 수도권 전체 미분양 1만1천35가구보다 2천410가구나 더 많은 상황이다.
심지어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전월보다 48가구 늘어난 281가구로 집계되는 등 전반적인 침체기를 돌입했다.
구·군별 미분양 물량은 수성구가 3천105가구로 가장 많고 남구(3천88가구), 달서구(2천435가구), 북구(1천515가구), 동구(1천199가구), 중구(1천91가구), 서구(969가구), 달성군(43가구) 순이다.
12월 대구의 주택 매매 거래량은 1천212건으로 전년 동월의 1천677건에 비해서는 27.7% 감소했지만, 전월 987건과는 23.9%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올해와 내년 대구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6만4천가구에 육박한 상황을 감안하면 앞으로 매매와 전세가격 하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대구의 입주 물량은 6만3천858가구로 경기(25만7천848가구), 인천(8만6천76가구)에 이어 세번째로 많고 경북은 3만8천54가구로 전국 17개 시·도 중 여덟번째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부동산 한 관계자는 “12년 만에 미분양이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앞으로 대구지역 전·월세의 하락 등 부동산 침체기는 계속될 전망”이라며 “고금리에 따른 정부의 특단의 대책이 발표되기 전까지 대구지역 미분양 사태는 당부간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