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協 대경지회·경주 축산인들<br/> 경주축협 규탄과 사업 철회 요구<br/>“대기업 한우 산업진출 빌미 제공”
축산단체는 “농민들의 소득증대와 생업을 지원해야하는 경주축협이 한우 위탁사업을 추진하면서 농민들을 소작농으로 만들고, 생존권을 위협하는 조합으로 변질됐다”면서 “축협에서 최근 만들고 있는 사료공장과 막대한 시비를 지원받아 조성된 브랜드 유통조직은 지역농민을 노예화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한우 위탁사업을 통해 경쟁력이 없는 농가들에게 사료, 소, 경영, 서비스 등을 제공해 축산업 경쟁력을 도모하겠다는 주장은 새빨간 거짓말이다”면서 “농민에게 직접적인 금융·경영·지도·예탁 지원을 통해 농민 스스로 사육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는데, 대기업의 형태로 막대한 자금을 바탕으로 농심을 배반하는 위탁사업은 대기업의 한우 산업진출의 빌미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탁사업으로 시장 잠식이 완료된 양계, 양돈 산업처럼 한우 농민들을 노예로 전락하게 만들 것이다”며 “최근 농업의 규모화 자본확충의 미명 하에 대기업의 축산업 진출로 육계, 오리는 90%, 한돈, 양계는 30% 이상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시기에 이르게 됐고 대한민국 축산의 마지막 보루인 한우마저 위험에 이르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경주는 한우 사육 수가 많은 지역으로 위탁 사육을 강행할 경우 전국 농·축협 및 대기업에서 위탁사업에 뛰어들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축협 관계자는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경주지역 내 한우사육 수를 늘리고, 비어있는 축사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경주천년한우 브랜드의 발전과 한우사육 농가의 수익을 증대시키는 사업이다”고 말하고 “현재 2천500마리의 천년한우 생산량에 위탁생산 2천500마리를 더해 생산량을 늘려갈 계획이며 과잉공급과 관련한 우려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다”고 입장을 전했다
한편 위탁우 사업인 ‘경주 천년한우 고급육생산기반 조성사업’은 경주축협이 올해 처음으로 시도되는 송아지 입식지원사업으로 출하선급금 지원사업과 예탁사업으로 운영된다.
경주/황성호기자 hs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