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회장 등 경찰 인력 집중 배치<br/>사고땐 신속대처 의문 ‘불안감↑’
지난달 24일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들어간지 2주째로 접어든 가운데 포항·구미 등 화물연대 집회가 열리는 곳에 경찰 인력이 집중되면서 지역 치안서비스 공백이 우려된다.
6일 경북경찰청에 따르면 파업이 시작된 후 지금까지 경찰은 업무방해 및 폭행 등 혐의로 화물연대 조합원 10명과 협박 혐의로 입건된 조합원 1명을 붙잡아 수사하고 있다.
이들 조합원은 포항에서 비조합원 운전기사가 모는 화물차 진출입을 방해하거나 운전기사를 상대로 욕설, 폭행 등 소동을 벌인 혐의를 받고 있다.
화물연대 민주노총의 불법행위와 집회강행이 이어지자 정부는 엄중한 대처를 선언했다. 이에 따라 화물연대 조합원의 고속도로 기습점거 및 휴게소 내 불법행위에 대비해, 휴게소와 요금소 주변 등에 24시간 경찰관을 배치하는 등 현장 통제력도 강화되고 있다.
문제는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인해 동원되는 인력이 많아질수록 지역 치안에도 공백이 우려된다는 점이다.
경북경찰청은 경찰관기동대 47개 부대, 경찰 1만958명, 순찰차 252대, 싸이카 145대를 동원해 화물연대 불법행위에 대응해왔다.
현재 포항남·북구경찰서와 지역 내 파출소에서도 하루 40∼50명의 경찰이 파업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 걸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경찰 기본 업무 외에 집회 거점 순찰, 운행 화물차 경호 등 화물연대 총파업 집회 관련 업무를 넘나들면서 치안서비스에 구멍이 생기는 것은 아닌지 시민들은 걱정하고 있다.
시민들은 지역의 치안을 담당하는 일선 직원들이 파업의 장기화로 지역 사건·사고 대응이나 처리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 아닌지 불안감을 표출하고 있다.
포항 남구 오천읍에 사는 박혜영(28·여)씨는 “정부의 강경 대응으로 경찰 인력이 지금보다 더 빠져나가면 허점이 생겨 시민들에게 그 피해가 돌아올까 걱정된다”며 정부는 조기에 파업을 수습하는 방안을 강구해달라”고 주문했다.
경찰 관계자는 “정해진 인원이 아닌 그때그때 상황에 따른 즉각적인 인력지원으로 인해 구분없이 일손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민지기자 mangch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