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태고의 공원을 만나다

등록일 2022-11-30 19:28 게재일 2022-12-01 16면
스크랩버튼
정미영 수필가
정미영 수필가

포항에 있는 다섯 곳의 국가지질공원을 둘러보기 위해 길을 나섰다. 먼저, 천연기념물 모감주나무 군락지가 있는 발산리를 찾았다. 예전부터 모감주나무 열매는 알알이 꿰어 염주로 만들었다고 한다. 나무 앞에서 기도했던 수많은 이들의 절실한 말이 열매 속에 응집되어 있다가 염주가 되는 것이리라.

대동배 해변을 따라 걸었다. 땅과 바다의 경계선 중간에 바다계단이 거대하게 존재했다. 해안가에서 육지 쪽을 바라보면 바다와 육지를 연결하는 계단모양의 해안단구를 명확히 관찰할 수 있었다. 나는 바다계단을 수호하는 독수리 바위와 악어 바위를 찾았다. 예전부터 우리나라 궁궐과 사찰에는 돌계단을 수호하는 사자, 해태, 해치가 있었다. 그들처럼 바다계단을 독수리와 악어가 지키는 것 같아 정겨웠다.

구룡소에 도착했다. 용이 살았던 연못은 여러 곳에 남아 있는데, 오늘날에는 해안형 돌개구멍이라고 부른다. 해안형 돌개구멍은 파도를 따라 자갈이 움직이면서 집괴암을 깎아 만든 접시 모양의 구조이며, 이곳에 바닷물이 채워지면서 연못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구룡소 9개의 굴 중에는 5리가량의 깊은 굴이 있다. 파도가 칠 때 굴 입구로 흰 거품과 물이 쏟아져 나오는데 마치 용이 입에서 연기를 뿜어내는 듯하다. 파도에 의해 육지가 깎여 평평하게 만들어진 파식대지와 타포니 옆에, 누군가가 만들어 놓은 작은 돌탑이 드문드문 보였다. 설령 너울에 휩쓸려간다고 해도 절박한 염원의 편린들은 바다를 떠돌면서 영속성을 유지할 것 같았기에 나도 한 켠에 돌을 포개어 탑을 쌓아보았다.

바다에서의 오전 일정을 마치고, 내연산 12폭포에 도착했다. 약 14km에 이르는 계곡을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 폭포가 발달한 곳으로 하나의 계곡에 이처럼 여러 개의 폭포가 발달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무풍, 관음, 연산폭포는 기암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선 곳에 웅장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겸재 정선이 그린 ‘내연삼용추도(內延三龍湫圖)’의 배경이 되었다.

정선의 그림은 내연산 세 군데 폭포를 그렸다. 맨 위에 연산폭포, 가운데가 관음폭포, 가장 아래는 잠룡폭포다. 선열대 아래 깊은 계곡에 잠겨 있어서 잠룡이다. 공자는 잠룡의 의미를 ‘용의 덕성을 지니면서도 숨어있는 자, 세상을 은둔하고 살아도 마음에 언짢음이 없으며, 옳음을 인정받지 못해도 억울해 함이 없이 확고하게 자신의 의지가 흔들리지 아니 하는 자’라고 했다.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는 경쟁에서 이겨야만 안심이 되는 곳으로 변했다. 경쟁에서 뒤처지는 사람은 세상을 떠도는 약한 바람에도 자존감이 뿌리 채 흔들려 휘청대기 일쑤다. 자기 스스로를 격려하는 이가 많아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나부터 잠룡 같은 사람이 되기를 바라며 연일읍 달전리 주상절리로 향했다.

달전리 주상절리에 도착했다. 육각기둥 척추를 우뚝 세우고 오늘도 산허리에서 중심을 옴팡지게 잡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우직한 골격 안에는 포항의 오랜 내력이 담겨 있으리라. 주상절리의 미학은 삶의 여유를 갖게 한다는 것이다. 눈앞에 보이는 풍광을 마음속에 옮겨 놓고 걷다 보면 누구나 위대한 대자연의 형상 앞에서 겸허해질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나 또한 일상에서 가졌던 날선 방어 기제들이 한결 누그러지고 편안해졌다.

마지막 행선지인 두호동 화석산지는 환호공원 해안도로 옆의 이암사면에 분포한다. 고래부터 메타세쿼이아 잎, 게, 소라 등 다양한 육지와 바다 생물화석이 산출되는 곳이다. 화석을 바라본다는 것은 과거를 등에 업고 현재를 인식한다는 것임에랴. 생물학적인 시선에서 벗어나 내 기억의 퇴적층에는 어떤 흔적들이 쌓여 있는지, 자분자분 회상해 보았다.

박물관에서 만나는 자연사(自然史)는 깊은 울림을 준다. 그 보다 태고의 신비가 곰비임비 쌓여 있고, 오래된 전설과 설화가 고스란히 살아있는 국가지질공원을 나만의 보폭으로 걸어보는 것은 더 큰 감동으로 다가왔다.

나는 오늘 태고의 공원을 만났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