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지역 맞춤형 인구현황·분석 <br/>2023~2027년 용역 중간보고회<br/>국내·외 사례 분석 등 과제 발굴
[경산] 경산시가 인구 현황과 정책 분석을 통해 맞춤형 인구정책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시는 28일 ‘경산시 인구정책 종합계획 수립(2023년~2027년)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주)행정연구네트워크가 진행하는 이번 용역은 지역의 인구 현황과 저 출생, 고령화, 청년 유출 등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해 지역 특성에 맞는 인구 증가 대책 및 정책 과제를 발굴하려는 것이다.
(주)행정연구네트워크는 8월부터 연구용역에 착수해 500명의 표본을 산출해 다양한 연령대와 남·여 비율을 반영했다. 중간보고회에서 (주)행정연구네트워크는 국내·외 인구정책 선진사례 분석과 시민 대상 인구정책 설문조사,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통해 ‘모든 세대 꽃(花)피는 행복한 가족 도시 경산’을 바탕으로 하는 출생·보육 행복 지원 정책 일·가족의 균형 일자리 인식개선 확산 시민의 생활 활력 문화·복지 정책 인구 변화 대응체계 개선 및 구축 등의 4가지 정책 목표를 제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직장과 취업, 교육 문제로 지역을 이탈하고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공영주차시설과 가족복지시설, 체육시설, 공원녹지 산책로 등의 구비로 응답해 인구정책 수립에 참고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산시의 인구 증가를 위해서는 저출산 해결의 선순환구조인 일자리와 주택, 보육 정책의 굳건한 선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시는 중간보고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12월 최종보고회를 거쳐 용역이 완료되면 수렴된 의견을 반영해 ‘경산시 인구정책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분야별 세부 사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