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안동시, 내년도 본예산 1조4천억 편성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2-11-20 19:48 게재일 2022-11-21 9면
스크랩버튼
올해보다 900억 증가… 도농 활력·미래 경쟁력 제고 등에 주안점
[안동] 안동시가 2023년도 본예산을 올해 본예산보다 900억 원(6.9%) 증가한 1조4천억 원으로 편성해 21일 시의회에 제출한다.

20일 안동시에 따르면 일반회계는 1조2천475억 원으로 831억 원 늘었고, 특별회계도 1천525억 원으로 69억 원이 커졌다. 일반회계 세입도 함께 늘었다. 지방세와 세외수입 등 자체수입은 1천403억 원으로 84억 원 늘었으며, 지방교부세와 국·도비 보조금 등 의존수입도 1조737억 원으로 올해보다 766억 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일반회계만 올해보다 831억 원이나 증가했다.

안동시는 예산편성 기조를 도시와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고, 문화 향유로 시민 삶의 질을 한 단계 높이며, 미래 경쟁력 제고에 주안점을 뒀다.

농촌 고령화와 일손부족 해결을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과 농촌인력 중개지원 15억 원, 농기계임대에 20억 원을 반영했다. 인구감소 위기 극복을 위해 지식산업센터 건립비 등 지방소멸대응기금 83억 원과 출산 장려를 위해 41억 원을 실었다. 낙동강변 어린이 물놀이장 확대와 금소생태공원 물놀이장 조성을 위한 예산 20억 원 등은 아이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한 것이다.

소상공인과 침체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예산도 고려했다.

소상공인 살리기를 위해 41억 원, 안동사랑상품권 발행 및 운영 117억 원, 일자리 창출업무 지원 72억 원, 안동형 일자리 55억 원 등을 반영했다. 가정용 상수도 사용료 감면 지원 25억 원은 서민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며, 민원콜센터 구축비 3억 원과 영상정보통합센터 증축 및 리모델링 20억 원은 안전환경 조성을 위해 배분한 예산이다.

기초연금 1천167억 원과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지원 362억 원 등 취약계층과 사회적 약자 보호 등 복지분야는 내년도 본예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야별 세출예산은 △사회복지 3천715억 원(29.8%) △농림해양수산 1천804억 원(14.5%) △문화 및 관광 1천226억 원(9.8%) △국토 및 지역개발 926억 원(7.4%) △환경 913억 원(7.3%) △산업·중소기업 648억 원(5.2%) △교통 및 물류 576억 원(4.6%) 등에 배분됐다.

권기창 시장은 “활력이 넘치고, 문화가 흐르며, 희망이 있는 새로운 안동을 만들기 위해 많은 고심을 거듭하면서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며 “다양한 수요를 반영한 내년도 예산안이 안동시의회 의결 후 빠르게 지역경제에 녹아들 수 있도록 집행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