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초 태풍 힌남노로 큰 피해를 본 포항제철소의 전체 공장 완전 재가동이 내년 1분기에야 가능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포스코 피해와 관련해 지난달 말 보고받은 민관 합동 ‘철강수급 조사단’의 조사 중간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민동준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를 단장으로 총 10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은 사전 준비 회의와 세 차례의 현장 조사를 통해 피해상황 확인과 복구 계획, 수급차질 대응 계획을 점검했다.
피해 원인은 힌남노로 집중 호우가 내려 제철소 인근 하천인 냉천이 범람해 침수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제철소 2문과 3문으로 집중 유입된 하천수로 수전 설비가 물에 잠겼고, 이어 정전으로 선강(제선·제강 공정을 통칭) 설비 가동이 중단됐다. 또 압연(열과 압력을 가해 철을 가공하는 작업) 라인 침수로 각종 전기·제조 시설이 마비되고 화재도 발생했다.
태풍 침수사고로 포스코의 매출은 2조400억원 감소하고, 포스코 납품기업들의 매출은 2천500억원 정도 타격을 받은 것으로 조사단은 추산했다.
포항제철소는 내년 1분기까지 STS(스테인리스스틸) 1냉연공장, 도금공장 등 나머지 2개 공장이 재가동을 마치면 포스코 제품 생산 설비는 피해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진단했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피해 공정은 순차적으로 복구 중”이라며 “18개 제품 공장 중 연말까지 15개 공장이 재가동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장 차관은 “아직 복구 시점이 확정되지 않은 제1후판을 제외한 전체 공장의 재가동은 애초 알려진 바와 달리 내년 1분기는 돼야 마무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측은 “연말까지 모든 제품에 대한 생산을 재개해 시장 수요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수해 복구를 차질 없이 진행 중”이라며 “국내 고객사 전수 조사를 통한 품목별 수급 안정화 대책 시행으로 국내 수급 영향은 미미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박형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