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밀지 마라

등록일 2022-11-10 19:53 게재일 2022-11-11 18면
스크랩버튼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지난 10월 29일 이태원에서 일어난 참사는 아무도 예견하지 못한 일이었다. 만약의 경우에 대한 대비가 있었더라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일이기도 했다. 공영방송에서조차 주의나 경고는커녕 오히려 부추겼다고 하니, 결국 일어날 사고가 일어난 셈이었다. 이번 참사의 특징은 위급상황에서 발생한 게 아니라는 점이다. 많은 사람들이 모인 공연장 같은 곳에 화재나 테러가 발생했다거나, 운동경기장에서 흥분한 관중들의 집단소요사태로 생긴 인명사고와는 다른 것이다. 그냥 놀러 나온 사람들이 너무 많아 길이 막혀 난 사고다. 다급한 사정이 아닌 만큼 길이 막히면 멈추어서 기다리거나 다른 곳으로 돌아서 가면 그만인 상황이었다. 그런데도 앞의 사람들이 백 수십 명이나 압사를 했다는 것은, 뒤로부터 도저히 버틸 수 없을 만큼 밀어붙이는 힘이 작용했다는 것 말고는 설명할 길이 없는 일이다.

한 마디로, 뒤에서 밀었기 때문이 일어난 사고였다. 고의로 밀었건, 장난삼아 밀었건, 별 생각 없이 밀었건, 민다는 행위들이 합쳐져서 대형 참사를 빚은 것이다. 사람이 많이 몰려 길이 막혔을 때는 절대로 뒤에서 밀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번 사건이 주는 뼈아픈 교훈이다. 설령 위급한 상황이라 할지라도, 아니 위급한 상황일수록 더더욱 밀어서는 안 된다. 더구나 병목현상을 일으키는 좁은 골목일 때는 반드시 지켜야 할 사항으로 화재나 지진의 대피요령과 함께 필히 학교 교육과목에도 넣어야 할 것이다.

사람이 많이 모인 곳에서는 군중심리가 발동하기 마련이다. 군중심리란 ‘많은 사람이 모여 있을 때 자제력을 잃고 다른 사람의 언동에 휩쓸리는 심리현상’을 말한다. 생존을 위한 동물적 본능에서 유래된 것으로 긍정적인 측면도 있는 반면 나치의 파시즘 같은 엄청난 해악을 끼치기도 한다. 요즘은 SNS의 획기적인 발달로 실시간 비대면으로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새로운 양상의 군중심리가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대두되었다. 최소한의 신분노출도 필요 없는 익명성과 실시간 다중소통이 가능한 파급력으로 현대사회를 움직이는 주동력이 된 것이다. 정치와 경제, 문화 등 어느 분야건 군중심리를 이용하지 않고는 설 자리가 없을 정도다.

핼로윈이라는 남의 나라 풍습을 좇아 젊은이들이 몰려든 것도 군중심리의 하나일 것이고, 그런 곳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일들이 다 군중심리의 발로라고 할 것이다. 그럴 경우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을 예상하고 만반의 대비를 하는 것이 지자체나 경찰 당국의 역할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이 있지만, 계속 소를 먹이려면 외양간부터 고쳐야 한다. 다시는 이번과 같은 대형 참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근본적이고 철저한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시대현실에 맞는 공중질서의식을 학교 교육에서부터 길러야 한다. 군중심리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심도 있는 연구도 요구되는 현실이다. 교육을 통해서든 언론매체를 통해서든 사람이 운집한 곳에서는 절대로 남을 밀어서는 안 된다는 의식쯤은 갖게 해야 선진국이다.

浮雲世說(부운세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