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오존경보 발령 작년보다 감소… 농도는 그대로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2-10-18 19:55 게재일 2022-10-19 5면
스크랩버튼
경북보건환경硏 경보제 운영 결과<br/>올 26회 발령·농도는 0.036ppm

경북도가 올해 오존경보제를 운영한 결과 발령횟수는 줄었지만 농도는 지난해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경북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4월 15일부터 15일까지 지역 23개 시·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오존경보제 운영 결과 오존주의보 발령 횟수는 지난해 41회에서 올해 26회로 37% 줄었지만, 평균 농도는 지난해와 같은 0.036ppm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형적인 특성으로는 고농도 오존은 주로 동부 해안지역(포항, 경주 영덕, 울진)에서 발생했으며, 경산을 제외한 서부 내륙지역은 비교적 낮은 동고서저 현상을 보였다.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 동안의 미세먼지(PM-10) 연평균 농도를 비교해 보면 전국적으로 20.0%, 경북에서는 26.6% 정도의 농도가 감소했지만 오존의 연평균 농도는 코로나19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28.0%, 경북에서 18.5% 정도의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특히, 최근 3년간 오존을 제외한 대기환경기준항목(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은 코로나19로 인한 사업장 가동률 저하와 차량이동 감소, 계절관리제 운영, 친환경차 보급 등의 영향으로 인해 농도가 크게 줄어든 반면 오존은 일사량 증가와 온난화에 따른 기온상승 등의 영향으로 농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백하주 연구원장은 “성층권의 오존과 달리 대류권의 오존은 강력한 산화제로서 노출 시 피부 노화와 폐기능 저하와 같이 인체 피해는 물론, 농작물과 건축물과 같은 재산상 손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감시와 분석을 통해 도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존경보제는 공기 중 오존농도가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주의보를 발령해 도민의 생활환경과 건강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경북도는 도내 23개 시·군, 48개 도시대기측정소를 통해 1시간 마다 농도를 측정해 최고농도가 0.12ppm이상이면 주의보, 0.3ppm이상이면 경보, 0.5ppm이상이면 중대경보를 발령하고 있다.

/피현진기자ph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