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분기 전기차 29만 8천대… 매년 평균 30% 이상 증가세<br/>전국 충전소 14만5천293곳… 서울·경기 제외 1만곳 넘는 곳 전무
국내 전기차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으나 충전소 등 관련 인프라는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기차 보급은 30만대에 육박하고 있지만, 고속도로 휴게소 전기차 충전기는 부족하고 충전속도도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경북 군위군 상주-영천고속도로 군위영천휴게소.
두 대의 충전기 앞에 6대의 차량이 줄지어 서 있었다.
차 한 대당 충전 시간은 40분. 환경부 급속충전기 충전제한 시간이다.
앞선 차량 두 대가 비슷한 시간에 충전을 시작해 뒤에 온 차들은 최소 40분 이상을 대기해야 했다. 대기순번이 3·4번인 차들은 대기 시간 40분에 충전 시간 40분을 더해 총 80여 분을 오롯이 충전을 위한 시간으로 써야 했다. 문제는 5·6번 차량들이다. 하염없이 기다려야 하는 차주들은 애가 탔다. 이들이 떠나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 휴게소에 갈 배터리 여분이 남아 있지 않아서다.
울산까지 가야 한다는 A씨(40)는 “배터리가 2km 밖에 남지 않아서 무조건 이곳에서 충전하고 가야 한다. 바로 앞에 두 대가 막 충전을 시작한 상태여서 어쩔 수 없이 기다리고 있다”며 “한 차량은 자리를 떠났다.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어 대신 예약 취소를 해야 했다. 휴게소까지 갈 키로수는 되지 않아서 아마 인근 IC로 나가 동사무소 등에서 충전하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회가 있을 때 충전을 많이 해둬야 하는 것은 전기차주들 사이에서 불문율이다.
포항으로 향하던 B씨(36·여)는 “예상 키로수보다 적게 달렸다. 여유있게 충전을 했는데도 부족해서 다시 휴게소에 들렀다”며 “이전에 들른 휴게소에서도 충전 전쟁이었는데 여기서 또 기다려야 한다. 뒷사람들을 위해 충전 시간을 줄였는데 이럴 줄 알았으면 끝까지 시간을 채울 것 그랬다. 대기 시간이 두 배로 늘어났다”고 토로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누적 전기차 등록 대수는 29만 8천633대로 집계됐다.
국내 전기차 등록 차량 대수는 2020년 13만 5천대, 2021년 23만 1천대, 2022년 2분기에 29만 8천대로 매년 평균 30% 이상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전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소는 14만5천293곳에 그쳤다. 경기도(3만7천358곳)나 서울시(2만6천939곳)를 제외하면 1만곳 이상의 충전소를 갖춘 지역은 한 곳도 없다.
전기차 이용자들은 전기차 충전소 공급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고 입을 모았다.
최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조오섭(광주 북구갑) 의원이 국토부와 도로공사 등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207곳 가운데 199개 휴게소에 충전기 860대가 설치됐다.
이 가운데 400㎞ 가량 주행 가능한 전기차 배터리를 완충(80%)하는데 약 1시간 소요되는 100㎾급 이하 충전기가 706대(8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30분 이하로 완충할 수 있는 200㎾급 이상 충전기는 154대(18%)에 불과했다.
한국도로공사가 환경부, 한국전력 등에 책임을 전가하며 전기차 충전기 설치사업이 표류하고 있다는 것이다.
조 의원은 “도로공사는 친환경에너지 정책에 앞장서야 하는 공기업이면서 전기차 충전기 설치에 부지만 빌려주고 있다는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며 “고속도로 휴게소를 관리감독하는 도로공사가 국토부, 환경부, 한국전력, 에너지기업 등 관련 기관들과 협의를 통해 전기차 충전기 보급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