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도지사들 대표 성명 발표<br/>“농자재값 오르나 쌀값은 폭락”<br/>“지자체 역부족… 정부 나서야”
전국 쌀 주산지 8개 광역자치단체(경북, 경기, 강원, 충남·북, 전남·북, 경남) 도지사들은 이번 성명을 통해 최근 쌀값이 최대 하락폭을 기록하는 등 폭락이 이어지자 정부가 쌀값 안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강력히 요구했다.
이들은 비료와 농자재 가격은 연일 오르고 있으나 쌀값은 연일 폭락하고 있어 농업인들은 망연자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산지 쌀값은 세 차례 시장격리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0월 5일 22만7천212원/80kg을 기록한 이후 지속해서 하락해 2018년 이후 처음으로 17만 원 선이 무너지면서 5일 기준 16만4천740원/80kg을 기록했다.
이에 8개 광역자치단체 도지사은 공동성명서를 통해 “생산비 상승과 쌀값 폭락으로 농업인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쌀농사가 흔들리면 농업인들의 삶은 물론 대한민국이 흔들릴 수밖에 없는 중차대한 문제로 즉각 쌀값 안정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해외원조를 확대하기 위해 수입쌀 포함 80만 t인 공공비축 물량을 순수 국내산 쌀 100만 t으로 확대하고 2022년산 신곡 출하 전 2021년산 벼 재고 물량을 전량 매입해야 한다”며 “또한, 2022년산 공급과잉 예측 시 선제적 시장격리와 논 타작물 재배사업 국고지원 부활 등 쌀 적정 생산 및 소득보전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이철우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장은 “쌀은 우리 농업의 중심이자 근간으로 지자체의 힘만으로는 쌀값 안정대책을 마련하기에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가 적극 나서서 대책을 세워 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